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조선후기 충청도 지방 읍치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ChungChong-Do Province Eupchi in the Late Chosun Dynasty
저자명 김기덕 ; 이재헌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2 n.1(2003-03)
페이지 시작페이지(43) 총페이지(16)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 도시
요약1 본 연구는 조선왕조의 획일적인 지방 통치체제속에 형성된 읍치의 기본구조와 지형, 사상 등 당시의 다양한 제반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진 읍치의 모습을 통해 조선후기 보편적인 읍치의 공간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요약2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structure of Eupchi(邑治) on Chungchong province with Chungchong-do regional maps(忠淸道地方地圖) and Eupjis(邑誌, topography) being compil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 in this study, we make conclusions as follows;
1. Gunhyeon(郡縣) which had been Eupseong(邑城) on Chungchong-do in Chosun dynasty was 13 provinces, and the construction of Eupseong was the coast Eupseong built for the purpose of defense and military Eupseong built at Byeongyeong(兵營) and Geojin(巨鎭). And a measur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castle was Pobaekcheok(布帛尺) used to survey a frontier defence in Chosun dynasty, also Jucheok(周尺) or Yeongjocheok(營造尺) could be assumed to be wide use at that time.
2. Eupchi of Chungchong-do Gunhyeon was almost disposed to the south direction, also had been Jinsan(鎭山) safeguarding it. With relation to Jwahyang(坐向) and Jinsan, its Jinsan and Myeongdang-cheon(明堂川) match each other in location of Eupchi, as it get Jinsan sat, and take main river in front of it. And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to be the center of a Eupchi is organized into Gaeksa(客舍), Dongheon(東軒), Naea(內衙), Hyangcheong(鄕廳), and practical business facilities, Jakcheong(作廳) or Jangcheong etc., the others is composed for the use of support of those.
3. In most Eupchi in Chungchong province, the layout Sajikdan(社稷壇) and Yeodan(?壇) was gone with a principle as they were disposed in the west and the north with Eupchi. Seonghwangdan(城隍壇) and Munmyo(文廟) was built in defiance of a principle, as a condition of province. Jangsi(場市) of Eupchi was opened in front of government office or Gaeksa, and the Gunhyeon which had Eupseong was establish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Eupseong.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시대 지방 읍치의 조영규범에 관한 연구
김기덕(Kim. Ki-D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5 (200405)
[논문] 조선후기 지방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김기덕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1 (200403)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조선시대의 지방도시 읍치의 성립과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김헌규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2(통권 51호) (200704)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
[논문] 일제강점기 근대도시의 도시공간구조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김득수 ; 한동수 ; 김영재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8 n.3(통권 제28호) (200709)
朝鮮後期 忠淸道 全義縣 官衙建築의 配置構成에 관한 硏究
김기덕 ; 이재헌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0 n.4 (20011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객사건축의 연구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2 n.3 (198606)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