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노베르그-슐츠(C. Norberg-Schulz)의 '장소성'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 개방성(Openness)'과 '틈새내기(Rift-design)'사유를 근거로 / A Critical Review on C. Norberg Schulz's Theory of the ‘Placeness’
저자명 이승헌 ; 이동언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2 n.3(2003-09)
페이지 시작페이지(149) 총페이지(14)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슐츠 ; 하이데거 ; 장소 ; 장소성 ; 터존재 ; 개방성 ; 틈새내기 ; C. Norberg-Schulz ; Martin Heidegger ; Place ; Placeness ; Dasein ; Openness ; Rift-design
요약1 이 논문은 슐츠의 장소성 이론이 하이데거 사유의 근본을 파악하지 못하고, 개념화 혹은 고착화된 관점으로 논지를 전개함으로 인해 장소의 개방적, 역동적인 특성을 사유하지 못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지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의 시원(始原)으로 정초하고 있는 하이데거의 사유와의 면밀한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그가 기술한 “건축에 관한 하이데거의 사유(Heidegger's Thinking on Architecture)”라는 글은 본 논의에 중요한 단초(端初)를 제공한다. 왜냐하면, 이 글에서 슐츠는 하이데거가 논증한 존재의 존재방식과 구현방식에 자신의 논거(論據)가 있음을 밝히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장소성 이론이 전개되었음을 입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논지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저작에서의 언설들을 이 글의 흐름 위에서 함께 논의할 것이다.
비판의 명증성(明證性)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판의 대상과 비판의 방법, 그리고 비판의 목적을 공고히 해야 한다. 이 논문은 정체성의 위기를 가져온 장소성부재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장소의 근원적 의미를 궁구(窮究)하며, 더 나아가 장소성 표출의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이에 대한 하이데거와 슐츠의 입장 차이를 비교 분석할 것이다. 매 장의 전반부는 논점의 유사성을 논할 것이며, 후반부는 논점의 차이점을 밝힐 것이다. 여기서 하이데거 사유의 주요한 내용인 “개방성(openness)”과 “틈새내기(rift-design)”는 슐츠의 이론적 한계를 비판하는 시금석인 동시에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향타가 된다. 이같이 하이데거 사유의 주요 부분을 바탕으로 하여 슐츠의 장소성 이론을 다시 읽음(rereading)으로 그것을 재활성화시키는 데 이 논문의 의의를 둔다.
요약2 Schulz accepted the existentialist view based on Heidegger's thought and at the same time the objectivist view making fixed this living world, evoking controversies for discussion. He could not see various presentations of the meaning of place because he perceived elements of this world individually. Thus Schulz's mixed system of understanding is sternly different from Heidegger's thought.
First, Heidegger suggests that place as existential space represents the occasion revelation of incidents in Dasein. While Schulz recognizes that place is a systematic space predetermined for Dasein. Second, Heidegger interprets the placeness as creative openness in which elements comprising this world fac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into one. In contrast, Schulz defines each of the elements through signification and regards it as invariable and static. Third, Heidegger perceives that the placeness is expressed with sustainable, complex images through "rift-design" which seeks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nd and the world. While Schulz attempts to take "Genius Loci" or "habituated scene" through "gathering" as a concept he regards static and then visualize such structural two factors, producing certain internal images of place.
However, limits of Schulz's theory prevent us from exerting complete imagination and discovering the inner creative world of the object. Thus the ultimate goal of paying attention to the placeness, that is, the recovery of individual identity, fails due to the prevalence and abstraction of objectified thinking. In contrast, Heidegger's thought about "openness" is a useful means of realizing the placeness. Openness may be referred to a dynamic coordination in which the earth and the world sustain each other under incessant mutual tensions, but not sticking o each other. "Rift-design" is an openness strategy to cause tense relations by preventing structuralization intentively. This is a creative design that allows seeing original seams of the object.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장소성 정의 및 개념 연구
홍성희 ; 박준서 ; 임승빈 - 한국경관학회 학술발표대회 : v.2011 n.1 (201104)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케네스 프램턴의 비판적 지역주의가 지니는 한계점과 현대적 의의
김승범(Kim Seung-Bum)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8 (2011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논문] 존 헤이덕 건축에서의 시선과 응시
이종건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4 n.3(통권 43호) (20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