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조선후기 지방관아건축의 배치구성에 관한 연구 / 문헌사료에 나타난 충청도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Building Layout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 Focused on Chungchong-Do in the Litera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저자명 김기덕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1(2004-03)
페이지 시작페이지(7) 총페이지(13)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배치구성 ; 관아건축 ; 삼조 ; 내전/외전 ; 직제 ; Building Layout ; Government Office ; Sam-Jo ; Naejeon/Oejeon ; Official Institution
요약1 본 연구는 현존하는 유구만으로는 조선시대 지방관아의 全貌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문헌조사를 근간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조선후기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작성한 지도와 읍지류에 비교적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충청도 지방관아를 통하여 조선시대 지방관아건축의 배치구성을 밝히는 일차적인 연구로 삼고자 한다.
요약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ilding layout of traditional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Chungchong province with Chungchong-do regional maps and Eupjis(邑誌) being compil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building layout of government office in Chungchong-do is followed in the wake of the spatial structure, Sam-Jo(三朝, three reign) a nd Oejeon-Naejeon(外殿-內殿), of Chosun dynasty palace. The planning principle of Sam-Jo at government office, Dongheon(東軒) territory for rule administration corresponds to Chijo(治朝) with a local governor who is the ruler, as for the Naea(內衙) territory which a family of him and he lives in, it is corresponded to Yeonjo(燕朝), and in the job space of Ajeon(衙前), it is corresponded to Oejo(外朝).
As for the applic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principle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Dongheon is corresponded to Oejeon and Naea to Naejeon. A compositive and an approach axis of government office in Chungchong-do is correspond with Dongheon in the center, and these axes form an central axis and an entry space of government office included Oesammun(外三門)?Naesammun(內三門)?Dongheon or Naea. Because an essential performance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is provincial administration, the layout configuration of government office is a function, which is an expression of an official institution.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관아건축에 관한 연구
주남철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28 n.116 (198401)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왕릉 8간(間) 정자각(丁字閣) 고찰
김왕직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05)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객사건축의 연구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2 n.3 (198606)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