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양동마을 조선 상류주거에 대한 공간사회학적인 비교 분석 / A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of Upper Class Housing the Chosun Dynasty -Focus on the Yang-Dong Village
저자명 이동찬 ; 채현수 ; 김정재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1(2004-03)
페이지 시작페이지(35) 총페이지(17)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조선 상류 주거 ; 공간사회학 ; 양동마을 ; 공간구문론 ; spatial-sociological ; space syntax ; upper class housing ; chosun dynasty
요약1 본 연구는 전통 주거에 관련된 기존의 형태적, 사상적 측면의 연구에서 보여왔던 정성적이고 현상학적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하는 차원에서 공간 사회학의 한 분야인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정량적인 분석방법의 한 지표로 설정하여 사회적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전통 상류주거의 공간 특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통 주거 공간의 전체 배치 유형과 각 채별 유형에 따른 공간구문론적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며, 더 나아가, 공간구문론적 측면에서, 시기적으로 주거 공간의 특성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요약2 The object of this study is upper class house in Yang-dong village with the purpose of spatial-sociological study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Space is the basic element of architecture and is fundamental for understanding architecture. Space, however,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its social context rather than through its physical or psychological attributes.
Space exists in a society, provi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frames it Social environment affects the thoght of people who are members of that society. Space is built by the people in a society and is affected by their thought. Spatial-sociological study can explain a mutual relation between people and space through context. It defines characteristics of space based on mutual relations which exist among the people, the culture of society and the environment of society but also having a sociological component, study of architectural space should consider the social context.
Since architectural space is built on social and cultural bases, to understand it requires various methods of study.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is one alternative. Using space syntax, this study analyzes houses in Yang-dong village by not only defining attributes of individual houses, but also common attributes of houses in the village. Based on common attributes of houses in the village, the attributes of Yang-dong village houses can be re-defined within the social context.
the results from a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of upper class housing of the Yang-dong village are as follows;
① Related to confucian ideas in Chosun Dynasty : A house has a dualistic center organized with 'an-chae' and 'sarang-chae'. 'an-chae' space is organized unsociably from outside.
② Related to various space pattern of Yang-dong village House in the Chosun Dynasty period :As variations in the types of space pattern, the village house exhibit different attributes.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양동마을 전통주택의 생활공간 변화가 외관에 미친 영향 연구
한필원(Han Pil-Won) ; 이주옥(Lee Ju-Oc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10 (200510)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양승정(Yang Seung-Jung) ; 김용승(Kim Yong-Seung) ; 박용환(Park Yo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4 (200604)
조선시대 양동마을의 배치구조 해석
최진영 ; 윤홍택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7 n.1 (198704)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양동마을 반가주택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승 ; 장석하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n.2007 v.01 (200712)
양동마을 서백당과 관가정의 간 특성
장선주 ; 이강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14 n.6 (2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