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시각(視覺)과 감응(感應), 동서양 건축에서의 경험의 문제 / Vision and Responsiveness : The Problem of Experience in the Architec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저자명 김성우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4(2004-12)
페이지 시작페이지(35) 총페이지(20)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시각 ; 감응 ; 동·서양건축 ; 근대 ; 전통 ; 건축론//Vision ; Responsiveness ; Architec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 Modern ; Tradition ; Architectural Theory
요약1 역사상 인류에게 있었던 건축은 모두 똑같은 경험방식을 전제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몸의 감관에서 특정 기관의 경험을 더 강조하는 정도가 다르거나 건축적인 특정 효과를 더 강조하거나 하는 방식으로 건축경험을 창출하는 관점이 같지 않았다. 그러한 차이는 당연한 것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경험방식에 대한 생각의 차이는 우선적으로 문화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같은 문화권 안에서도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도 있으나 그러한 차이는 문화권에 따른 차이에 비하면 크지 않다. 이 논문은 동양과 서양이 건축을 경험하는 데 대한 생각이 같지 않았고 그러한 차이가 건축을 완전히 다르게 만들었다는 가설을 전제로 하고 그 차이가 어떠한 것이었을까를 추적하는 것이 목적이다. 건축경험의 문제는 경험의 문제만으로 떨어져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기술, 기능, 건축관, 등의 다른 많은 문제와 같이 혼합적으로 작용하여 건축을 생산하였을 것이라는 점은 어렵지 않게 추측된다. 그러나 그렇다고 경험의 문제를 별도로 추출하여 거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동서양건축에서의 경험방식이해의 차이가 건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를 따져보고 그렇게 함으로 경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동서양건축의 이념적 배경의 하나로서 파악해보려는 것이다.
요약2 Perception of architectural experience is different in different cultu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how the experience of architecture is understood to be different i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The discussion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Western architecture placed more emphasis on visual perception, while the Eastern, on mutual responsiveness between man and built environment. The fact that the Western culture is more visually oriented than other culture, and therefore visual aspect of architecture, too,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is already widely agreed among scholars. But, then, what had been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architectural experience in the East? It is the degree and quality of mutual responsiveness between m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This fact influenced much on the making of architecture of course, and the same fact played the key role in making the Eastern archite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We are so used to the way of architecture of the West, that the quality of responsiveness is unknown if not forgotten. However, it is not the quality that was useful only in traditional society of the East, but necessary in our modern period as well. The quality fo responsiveness, therefore, should be rediscovered and restored as the prime value and quality of architecture in the future architecture.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동서양 건축에서의 공간과 시간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3 (200409)
[논문] 동서양 건축에서의 “형태”의 의미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2 n.4 (2003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입자(粒子)와 장(場) : 동서양 건축에서의 단위개념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4 n.1(통권 41호) (200503)
[논문] 공간(空間)과 천지(天地)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4 n.4(통권 44호) (200512)
비례(比例)와 기운(氣韻)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4 n.2(통권 42호) (2005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