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15세기 궁궐 正殿 영역의 내부공간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 / 문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age of the Interior Space of Jeongjeon Zone at the Royal Palace in the 15th Century : Focused on the study of the literature
저자명 이정국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3(2004-09)
페이지 시작페이지(7) 총페이지(13)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정전 ; 행랑 ; 내부공간 ; 공간 이용방식 ; Jeongjeon ; Haengrang ; the usage of the interior space
요약1 본 연구는 당시 궁궐건축의 공간구성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로서 내부공간을 어떻게 이용했고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며 궁궐건축의 중심 공간인 正殿 영역을 대상으로 한다. 정전 영역은 정전의 주위가 행랑으로 둘러싸여 통합된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행랑과 정전이 상호 연관성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전과 함께 정전을 둘러싸는 행랑도 포함한다.
구체적인 대상 건축물로는 경복궁의 정전인 근정전과 주변의 행랑, 그리고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과 주변의 행랑이 되며 창경궁은 성종 14년(1483)에 창건되었지만 당시에는 임금이 정사를 보기 위한 궁궐로 지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외한다.
연구대상의 시기는 15세기로 한정하였는데 이 때는 1392년 태조에 의해 조선이 건국된 이후 정종으로부터 연산군에 이르기까지 여러 임금을 거치는 동안 각종 문물제도와 의례의 형식이 정해지면서 조선의 독자적인 문화가 형성되고 뿌리를 내리는 시기이다. 이렇게 조선의 독자적인 문화가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서 궁궐의 건축공간 역시 부분적으로는 고려시대의 형식을 계승하고, 때로는 당시 새로운 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면서 조선시대 궁궐의 건축공간이 정착되어 가는 중요한 시기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 의해 궁궐의 내부공간에 대한 이해가 더욱 확장될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정확한 당시의 동선체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궁궐의 공간구성을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려시대와의 시간적인 연관성을 갖는 조선초기 궁궐건축의 연구를 통해 자료의 부족으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고려시대 궁궐건축을 부분적으로나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요약2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interior space of the Royal Palace in the 15th Century,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enter of the Royal Palace, that is Jeongjeon(正殿, the royal audience chamber) and Haengrang(行廊, which encloses Jeongjeon on four sides and has many room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usage of the interior space because the architectural space consists of the space unified by the organic function of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space.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interior space of Jeongjeon and Haengrang at the Royal Pal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erior space of those buil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Haengrang has several uses such as a night duty room, a storehouse, a government office or a banquet hall etc. So the interior spaces were finished with various methods that were suitable for the use of each room, and the material of the floor were the ground, Maru(the wooden floor) or Ondol(the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There were held many kinds of ceremonies in Jeongjeon,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could not enter the inside of that building and took part in the ceremony on the front court of Jeongjeon, except the men performing the ceremony. But the high ranking officials could enter the inside when King gave a banquet and there, they prostrated themselves before King. They sat down with their legs crossed on the ground floor instead of sitting on a chair.
When King held tea ceremony with Chinese envoys in Jeongjeon, they sat on Gyoui(交倚, a kind of armchair). Then, the government officials performing the ceremony in Jeongjeon prostrated himself around the King and the Chinese envoys and others stood around them.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朝賀 儀禮動線과 宮闕 正殿의 建築型式
조재모(Cho Jae-M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논문] 조선초기 경복궁의 공간구성과 6조대로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4(통권 59호) (200808)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논문] 조선전기 경복궁 궐내각사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이정국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0 n.5(통권 78호) (201110)
조선왕실의 정침(正寢) 개념과 변동
조재모(Cho Jae-M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6 (200406)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昌德宮 仁政殿 일곽의 공간구성 변화
박희용(Park Hi-Yong) ; 최종철(Choi Jong-Chul) ; 홍대형(Hong Dae-Hy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11 (200511)
[논문] 조선전기 경복궁의 침전(寢殿)과 후원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이정국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0 n.6(통권 79호) (201112)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7 n.2 (199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