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동서양 건축에서의 공간과 시간 / Space and Time in the Architec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저자명 김성우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3(2004-09)
페이지 시작페이지(97) 총페이지(21)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공간 ; 시간 ; 동서양 ; 건축 ; 변화 ; 운동//space ; time ; the East and the West ; architecture ; change ; movement
요약1 건축을 논하면서 시간과 공간의 문제를 다룬다는 것은 건축의 가장 본질적인 문제 중의 하나를 건드리는 것이라는 데 대해서는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건축이란 것은 공간과 시간의 인식방식을 건축화하는 것 이외에 다른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동서양의 건축전통이 완전히 다르게 나타났을 때 그 다름을 공간과 시간의 이해방식의 차원에서 논의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긴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는 시간 공간의 문제를 동서양의 시공간인식방법의 차이에 근거하면서 공간과 시간에 대한 비중의 차이를 건축에서 확인하려 하였다. 서양건축의 공간 편중성과 동양건축에서 시간을 건축화 하는 방식을 점검하였다. 동양건축에서의 시간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변화와 움직임의 문제를 끌어들여서 건축화 된 시간을 설명 하려하였다. 각 장(章)은 두 개의 단어를 하나의 짝으로 대비 또는 연결하는 방법으로 구성하려 한다. 설명의 간편성과 비교의 효과를 위한 방법이었다.
요약2 The tradition of architecture in the East and the West are different in many ways. One of the basic cause of such difference, however, is the different ways of perception of space and tim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attitude of perception of space and time in the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its influence on architecture. Degrees of importance placed on either space or time, as well as the modes of perception of space and time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architecture. Basically, the architecture of the West seems to be more spatially oriented than the East, and this have much to do with the fact that the tradition of Western architecture is visually oriented. On the other hand, East Asian architecture have been more conscious on bodily feeling and its movement in architecture. Spatial units of traditional Eastern architecture, are arranged in such a way in which man can experience the change of space that is supposed to be organized to form a sequential message. Thus, in the East, temporal dimension is more deliberately included in the course of architectural experience compared to the cases of the West. Although it is not easy to attempt any kind of value judgment on such aspec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different perception of space and time influenced architectural outcome, especially when one wan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cause that have made the architec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very different. Such understanding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East Asia where their future of architecture depends much on how they harmonize the Eastern and Western background which are already built up as two cultural structure in their consciousness to be able to create more desirable architecture for themselves.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논문] 동서양 건축에서의 “형태”의 의미
김성우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2 n.4 (200312)
건축디자인에 있어서 위상기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명식(Lee Myung-S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0 (200910)
장소성 정의 및 개념 연구
홍성희 ; 박준서 ; 임승빈 - 한국경관학회 학술발표대회 : v.2011 n.1 (201104)
현상학이 건축이론에 미친 영향과 현상학적 건축설계 방법론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광배(Kim Kwang-Ba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12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