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Elements and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저자명 오규식 ; 홍재주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6 n.1(통권 제18호)(2005-03)
페이지 시작페이지(47) 총페이지(17)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열섬 ; 기온저감 ; 도시공간요소 ; 공원녹지//Urban Heat Island ; Thermal Mitigation ; Urban Spatial Elements ; Open Spaces
요약1 도시화와 고도의 토지이용으로 인한 열섬현상의 발생은 사망률 증가와 여름철 냉방비 급증과 같은사회·경제적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으며 이의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구성요소(공원·녹지, 토지이용, 용적률등)와 기온의 관계를 파악하고 열섬현상저감을 위한 공원·녹지의 효과를분석코자 한다. 연구의 분석과정은 1)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서울시의 기온분포도(해당일자: 1997.6.16; 1999.6.22; 2001.6.3)를 작성하고, 2) 이를 바탕으로 토지이용(교통, 상업등), 용적률, 녹지, 하천 등과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며, 3) 공원·녹지의 규모와 식생 특성에 따른 기온저감효과를 측정한다.
분석결과, 표고, 교목 식피율, 하천 면적율 등의 요소가 기온저감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을 바탕으로 설명력 0.7이상의 기온예측 회귀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도시민의 생활공간 주변에서 빈번히 접하게 되는 근린공원 수준의 면적인 1~3ha에 공원·녹지의 경우, 50~150m 범위의 기온저감효과구간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같은 규모의 공원·녹지에 현재 교목 식피율이 19.93%인데, 이를 80%까지 상승시킬 경우(교목 식피율 60.07%), 기온저감효과는 - 0.10℃로 산출되었다.
서울시의 기온상승과 열섬현상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나, 관련연구의 부족으로 뚜렷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열섬현상의 상승요인과 공원·녹지의 열섬저감효과를 실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효과적인 도시의 지속성 제고 전략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2 As cities become more urbanized, the heat island phenomenon is a problem that is growing in severity. This phenomenon has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mortality rate and high costs in air conditioning expenses. Needless to say, this concern demands immediate attention and various resolution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temperature and urban spatial elements such as floor area ratio (FAR), open space, land use, etc. Subsequ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 open space can be one of the solutions implemented to alleviate the heat island problem.
The process of the analysis conducted was as follows: 1) An urban temperature map was drawn by using satellite images of Seoul (date: 1997.6.16; 1999.6.22; 2001.6.3); 2) based on analysis of the temperature data, the correlation and the regression of land use, FAR, the green areas, and rivers were computed; 3) finally, the thermal mitigating effects of the size of open space and vegetation cover were measured. The results reveal that altitude, vegetation cover, and river tract ratio were major factors that help to mitigate urban temperature rise. A high correlation of 0.7 in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identified demonstrated with these variables. Specifically this study determined that in terms of mitigating effects of temperature by open space, 1~3 hectares of open space in Seoul can affect a temperature mitigation range of 50~150 meters from the boundary of the open space.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 vegetation cover is 19.93% from parks and if the rate of 80% is achieved (with the addition of 60.07% of foliate cover) the result could produce a -0.10℃of temperature change.
The conclusion is that factors in urban heat island and open space reduction effects can be used effectively not only in alleviating the urban island problem but also in developing desirable environmental policies on sustainability issu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열섬현상 특성 변화와 도시설계적 대안 모색에 관한 기초연구
김용진 ; 강동화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3(통권 제45호) (201106)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열섬현상에 대한 사례 및 대책
김상진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11 n.1 (2010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도시지역의 열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서지은 ; 박병용 ; 김석기 ; 김태연 ; 이승복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0)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논문]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계절별 열섬현상의 강도
윤용한 ; 박봉주 ; 김원태 ; 김현수 - 국토계획 : v.43 n.4(통권 164호) (200808)
저탄소 시대의 친환경건축물 기술/사례
조욱희 - (사)한국그린빌딩협의회 창립 10주년 기념대회 :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