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古典속에 나타난 陶山書堂의 造營思想연구 / A Study on the Builder’s Thoughts of the Do-San-Seo-Dang in the Ancient Writings
저자명 최종현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6 n.1(통권 제18호)(2005-03)
페이지 시작페이지(85) 총페이지(27)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퇴계 ; 이황 ; 도산서당 ; 조영사상 ; 중용//Toegye ; Yi Hwang ; Do-San-Seo-Dang ; Joong-Yuong
요약1 이 글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도산서당 조영(造營) 사상에 관한 연구이다. 퇴계 이황은 31세(중종 26, 1531년) 되던 해에 지산와사(芝山蝸舍)의 조영을 시작으로 하여 양진암(養眞庵), 한서암(寒棲庵), 계상서당(溪上書堂)을차례로조성한다. 1557년에는도산남쪽, 낙강(洛江)에 임해있는 도산서당(陶山書堂) 터를 찾고 1560년 11월에는 도산서당이 완성된다. 이런 도산서당의 조성 과정을 조사, 분석하여 퇴계의 조영사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퇴계의 건축과 그 입지, 퇴계시(詩)와 도산서당, 회화속에나타난도산서당, 중용(中庸)과 도산서당 등을 종합 분석하여 퇴계의 조영사상을 도출하고자 한다. 퇴계 이황의 별서는 처음에는 퇴계천(退溪川:지명)의 동서를 축으로 조성되었다. 1557년 도산서당을 입지할 때는 퇴계천을 벗어나서 낙강(洛江)에 임하게 된다. 이 입지는 남북으로 시야가 터지고 좌우의 산곡(山谷)이 교차하여 전면에 경치가 조성되는 형국(形局)이다. 이황은 이런 조경 요소를 시로 읊고 각각을 명명하면서 서당을 조성했는데 중용의첫장구절을 배치개념에 응용했다. 중용의 첫 장“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가 바로 그 내용이다. 이 내용은 중용의 중심주제이며 사상이다. 그래서 도산 서당에서는 3단계 공간적 틀이 배치 개념이 된다. 天理(자연) 즉성이고 率性·道·敎이다. 이것이 퇴계이황이 조성한도산서당의 조영사상이다.
요약2 This article studies on the builder’s thoughts of Do-San-Seo-Dang(陶山書堂) by Toegye(退溪), Yi Hwang(李滉). When Toegye, Yi Hwang was 31 (26th in King Joong-Jong, 1531), he began constructing several buildings, at first built Ji-San-Wa-Sa(芝山蝸舍) and then Yang-Jin-Am(養眞庵), Han-Seo-Am(寒棲庵), Gye-Sang-Seo-Dang(溪上書堂) one by one. He searched for the location of Do-San-Seo-Dang confronting Rak-Cheon(洛川) in the south of Do-San mountain in 1557 to complete construction of Do-San-Seo-Dang in November 1560. This article tries to explore the process of building Do-San-Seo-Dang and to induce the builder’s basic thoughts.
This study aims at deducing the builder’s basic thoughts from analyzing the poems of Toegye, paintings of Dosan-Seo-Dang Toegye Yi Hwang and some lines of Joong-Yuong(中庸) and from studying the buildings of Toegye and the location of them. The study house of Toegye at first was constructed with axis of the east and west of Toegye stream(退溪川). But in 1557 Do-San-Seo-Dang was located in front of Nak river(洛江) separated from Toegye stream. This location came to guarantee the view of the north and the south with the alternation of mountain and valley in the both side to face the brilliant landscape directly. Toegye, Yi Hwang composed some poems of these elements of landscape with naming each of them to build Seo-Dang(書堂). Toegye adopted the first clause in the first chapter from Joong-Yuong to form the planning concept of those buildings. The concept of them is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What He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Nature: an accordance with this nature is called The Path of duty; the regulation of this path is called Instruction- in the first chapter from Joong-Yuong. This is the main subject and meaning of Joong-Yuong. So there are three spacial sequences in basic concept of building plan of Do-San-Seo-Dang, which is builder’s thought’s chapter from Joong-Yuong. This is the main subject and meaning of Joong-Yuong. So there are three spacial sequences in basic concept of building plan of Do-San-Seo-Dang, which is builder’s thought’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古典 속에 나타난 陶山書堂 園林과 樹種에 관한 연구
최종현 ; 최기수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1(통권 제22호) (200603)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조선후기 성리(禮)학의 이기론적 건축미학 연구
김홍식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11)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숭산사상과 도 읍 및 건축입지에 관한 연구
최종현 - 국토계획 : v.35 n.1(통권 106호) (200002)
고려시대 목조건축 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황세옥 ; 김봉건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退溪의 建築觀과 陶山書堂 (본지 9호 게재) 의 부분 정정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6 n.1 (199703)
退溪의 建築觀과 陶山書堂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5 n.1 (199606)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