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百濟 基壇 築造術의 對新羅 傳播 / A Study on How Baekje delivered Stylobate-Constructing Techniques to Silla Counterpart
저자명 조원창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4 n.2(통권 42호)(2005-06)
페이지 시작페이지(57) 총페이지(13)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기단축조술 ; 조사공 ; 와적기단 ; 이중기단 ; 가구기단//stylobate ; construction technique ; tile-piled stylobate ; dual stylobate ; framed stylobate
요약1 본고는 그 동안 발굴조사를 통해 백제 및 신라에서 확인된 기단의 사례를 검토해 봄으로써 백제에서 신라(통일신라 포함)로의 기술 전파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특히 삼국 중 백제에서 유행을 보였던 瓦積基壇, 二重基壇, 架構基壇등을 통해 백제 造寺工의 기단 건축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신라의 故土에서 확인된 신라 및 통일신라시대의 와적기단, 이중기단, 가구기단 등과 비교 검토하여 백제 기단 축조술의 신라(통일신라 포함) 전파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요약2 A stylobate, part of the foundation for hardening soil below the floor, has been built with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stone, tile and brick, in several kinds of combined constructions of soil, stone, and brick. In particular, Baekje used a tile-piled stylobate that could not be found in Goguryeo and Silla counterparts, thus showing outstanding performance in the construction culture. Archeological excavations up to now evidence the stylobate played a role in building the magnificent structures or enhancing the decorative effects. It can be enough inferred that such features are reflected on dual footing stylobate, framed stylobate and tile-piled stylobate.
Baekje had delivered its techniques for constructing stylobate to Silla from about the middle of 6th century. They can be traced down back from the dual stylobate that has been identified in Hwangryong-sa temple lastly built in the old site of Silla, those constructed with broken stones at Najeong, tile-piled stylobate of the mode of vertical-horizontal rows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Inwang-dong, Gyeongju, the capital of the kingdom, and a framed stylobate at Hall enshrining Buddha (Golden Hall) site of Gameun-sa temple site.
Recently, relics of structures, including temple sites, are intermittently being unearthed in the old sites of Baekje and Silla. However, studies linking archeology with architecture can be rarely found up to now. It is, therefore, necessary that the relics should be correctly construed in archeological as well as architectural aspects. We expect that further studies can graft architectural insight into archeological analysis.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석탑 기단부 적심구성방법에 대한 특성 고찰
정해두 ; 장석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5(통권 54호) (200710)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한국건축 초석의 유형과 변천에 관한 연구
김도경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2 n.02 (통권42호) (201006)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柱心包 팔작지붕의 轉角部 결구방식에 관한 硏究
류성룡(Ryu Seong-L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2 (200602)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