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존 헤이덕 건축에서의 시선과 응시 / The Eye and the Gaze in John Hejduk's Architecture
저자명 이종건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4 n.3(통권 43호)(2005-09)
페이지 시작페이지(7) 총페이지(15)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존 헤이덕 ; 마이컬 헤이즈 ; 자끄 라깡 ; 벽 집 ; 다이아몬드 집 ; 시선 ; 응시 ; 언캐니//John Hejduk ; Michael Hays ; Jacques Lacan ; eye ; gaze ; Wall House ; uncanny
요약1 이 논문의 목적은 존 헤이덕의 건축에 진입할 입구를 찾거나 만드는 것으로, 이 작업을 위해 헤이덕 건축을 해명하기 위해 헤이즈K. Michael Hays가 동원한 라깡Jacques Lacan의 시선과 응시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매개시킨다. 헤이덕의 건축은 우리에게 하나의 무명(無明)이다. 그의 건축에 진입하고자 시도한 본격적인 몸부림이나 흔적도 없고, 따라서 성과가 완전히 부재하다. 그런데, 왜 그러한 헤이덕의 건축을 조망할 틀로 시선과 응시의 개념을 택하는가? 이에 대한 답은 잠시 뒤로 미루고, 그보다 우선, 왜 헤이덕인가? 이 물음은, 특히 그에 관한 연구논문이 전무한 우리의 상황에서 우선 마땅히 짚어야 할 문제다. 세 답변이 가능하다. (본문 중에서)
요약2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make an entrance to John Hejduk's architecture. Based explicitly on both Karl Popper's model of knowledge production called 'conjecture and refutation' and Harold Bloom's theory of poetry called 'revisionism', this paper, in order to produce a new problem, mainly deals with an existing knowledge as an object to refute, that is, Michael Hays' interpretation of Wall House by Jacques Lacan's notion of the gaze, Hejduk's a pivotal architectural finding.
The arguments underlying this paper are two: First, Hejduk, just like this paper, follows Popper's model and Bloom's theory in conducting his own architectural research. Secondly, he takes what might be called artist's attitude when absorbing previous knowledge and producing new one. These two arguments are made in the first part and then served as a basic propositions for further arguments.
In the process of criticizing the way in which Hays explicates Hejduk's Wall House, this paper reaches two main arguments. First, Lacan's notion of the gaze is not proper specifically for the explication of it. However, it may be useful and even promising when dealing with other works such as Subject/Object and House of the Inhabitant Who Refused to Participate. Secondly, Freud's notion of 'uncanny', arguably Hejduk's strong architectural orientation, may serve much better as a main gate among possibly many ones in trying to open his architectu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might also serve as an important clue to solving mysticism remaining yet untouched in his architecture.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존 헤이덕 건축에서 ‘메두사의 가면’의 의미에 관한 연구
이종건(Lee, Jong-Keun) ; 김수현(KimSoo-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1 (201201)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1950-60년대 존 헤이덕의 초기 건축실험에 나타난 시리얼리즘에 관한 연구
배윤천(Bae Yoon-Cheon) ; 이강업(Lee Kang-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10 (200810)
로우와 슬러츠키의 투명성 개념의 해석과 확장에 관한 연구
이종건(Lee Jong-Ke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선과 응시의 관계로 본 현대건축 경향에 관한 연구
김진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7 n.5(통권 70호) (2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