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소규모 집합주택의 적정 개발규모 검토와 건축물 계획방향 / A Study on Efficient Development Size and Design Guideline Proposalfor the Small Multi-family Houses in Urban Residential Blocks
저자명 김혜정 ; 이세영 ; 양우현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2(통권 제23호)(2006-06)
페이지 시작페이지(25) 총페이지(22)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소규모 집합주택 ; 소규모 개발 ; 적정 개발규모 ; 주거환경 개선 ; 합필//Small Multi-family Houses ; Small Development ; Efficient Development Size ; Improvement of Dwelling Environment
요약1 본 연구는 일반주거지역 내의 필지단위 집합주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소규모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주거지 개발에서 단지개발을 대규모, 블록단위개발을 중규모라고 할때 소규모 개발은 필지별 개발보다 크고 블록단위개발보다 작은, 절반 이하의 블록규모로 정의할 수 있으며 소규모 집합주택은 소규모 개발단위에 건설되는 집합주택이라 할 수 있다. 소규모 개발은 다세대·다가구주택으로 인한 필지별 개발의 주거환경 악화를 개선하기 위한 최소단위로써 현재의 획지체계내에서 개선이 가능한 적정 합필규모이다. 따라서 기존의 기반시설을 토대로 쉽게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주거성능 측면에서는 필지별로 좁은 이격거리를 두고 세워진 다세대·다가구주택보다 큰 대지면적에 집합주택이 건설됨으로써 오픈스페이스를 집합화하여 주거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주거지내에 부분적으로 적용 가능한 소규모 개발을 통해 주민의 자력개발을 유도하고 점진적인 주거환경 정비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용적률과 순옥외공간율, 옥외공간 성능지표를 통한 소규모 개발의 적정 규모를 산출하는 것과 거주성의 관점에서 필지별 개발과 소규모 개발을 비교함으로써 주거환경의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며 이를 주차공간 확보, 건축물 배치, 외부공간 형성과 진입, 단위주호의 환경 측면에서 필지별 개발과 비교해 보았다.
요약2 This study proposes a small-scale development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ofmulti-family houses executed by lot development method within a general residential area. Ifthe super-block residential development is defined as a large-scale development and theblock-unit development as midium-scale development, a small-scale development can bedefined as being between the block-unit development and the lot development, smaller than ahalf block scale. This small-scale development presents efficient size within existing lotsystem to obtain high density and to secure sustainable dwelling environment, while adaptingto the existing urban formation and structure. Also, this is a particularly applicable within ageneral residential area, and development can be implemented by the residents. An efficientdevelopment size of small multi-family houses is examined through a simulation to calculatethe applicable size according to total usable areas, livability space ratio and the outdoor spaceperformance index together. Also this is compared with lot development to assure thepossibilities for improvements of the dwelling environment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도시형 생활주택’ 계획방향 및 설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김진욱 ; 김영현 ; 이민우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2 (2009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