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공간의 잠복성 / Latency in the Architectural Space of Mies van der Rohe.
저자명 정만영 ; 최은국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5 n.3(통권 47호)(2006-08)
페이지 시작페이지(119) 총페이지(17)
ISSN 15981142
주제분류 이론
주제어 미스 반 데어 로에 ; 잠복성 ; 콜라주 ; 가상 ; 투시도 ; 출현//Mies van der Rohe ; latency ; collage ; Schein ; perspective ; appearance
요약1 본 논문은 미스의 작품이 근대건축의 기획을 구현하고 있다고 보는 규범적 해석에서 그러한 기획의 허구성을 비판한 반 미스적 진영에 이르기까지, 미스의 작품의 일의성을 너무 당연시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의심에서 출발하였으며, 일면적으로 보이는 현상 안에는 이와 상호작용하는 계기가 잠복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이를 입증하고자 한다.
요약2 This study based on the hypothesis which the spatial qualities in the Mies's early works are not extinct but potentially immanent in his latter works. In Mies's early works, destruction of outline, centrifugal extension of fluid space, and asymmetry are distinctly showed. These qualities probably revert to the indefiniteness of space. In Mies's latter works, however, these dynamic qualities are disappeared. Geometrically precise outline and exact grid structure represent universal space derived from zero-degree pure box. These qualities probably revert to the definiteness of space, characterized by the unmovable emptiness.
Although Mies works vary in external form, his expression technique of space reveals continually both the quality of definitive and indefinitive space. For example, in the Museum for a Small City(1942) unbuilt project. elements defined by the perspective are fixed and static, but elements defined by the collages are floated and dynamic. The former reigns over the realized buildings of Mies, while the latter seems to be latent in terms of Schein which transcends reality. If we can penetrate this point, it's possible to read the other side of Mies' architectural works, distinct from both the canonized interpretation and the excessive criticism.
Point is that later works of Mies must be understood as interplay of universal space appeared as phenomenon and flowing elements latent in. Architectural space of Mies keeps a distance with actual space through latent manner of being while preserves the empirical actuality. It provides us with an occasion which appears only in an instant, in which even the ordinary things reveal its poetics.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공간적 측면에서 본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경구 “less is more”의 의미에 관한 연구
김란수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2(통권 51호) (2007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논문] 존 헤이덕 건축에서의 시선과 응시
이종건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4 n.3(통권 43호) (200509)
판즈워스 주택의 공간구성과 “Less is more”
이강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7 n.1(통권 66호) (200802)
미스 반 데어 로에 초기 주택의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남경훈(Nam Kyoung-Hoon) ; 이강업(Lee Kang-U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3 (20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