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도심형 단독주택지 블록 및 필지의 개발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도시조직 특성과 환경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Residential Block and lot Design
저자명 정재용 ; 박훈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4(통권 제25호)(2006-12)
페이지 시작페이지(19) 총페이지(14)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단독주택 ; 신도시 ; 가구 ; 필지//Detached house ; Newtown ; Block ; lot
요약1 본 연구는 도심의 주거지 개발양상이 주로 공동주택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도시주거의 다양화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단독주택의 가치 및 중요성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 단독주택지는 보전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서구화 되어가는 생활양식과 주택의 질에 대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는 단독주택지의 가구 및 필지는 이에 부응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서구 단독주택지 개발의 특징 분석(물리적, 제도적, 환경적 분석 등)을 통해 국내 단독주택지 필지 및 블록 개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외사례분석을 통하여 서구 단독주택지는 세장형의 필지개발과 후정의 계획을 통한 주거의 배치로 일조·프라이버시·소음·개방감 등의 다양한 환경적 장점과 물리적으로 효율적인 가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내 단독주택지의 개발실태는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외 단독주택지의 비교를 통하여 국내 주거지의 필지 및 가구개발 방향을 세장형의 필지 개발과 다양한 주거의 유형 개발, 그리고 건폐율, 이격거리 등 관련지침의 강화를 통해 개선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요약2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demand for better quality of life, multi-family housingdesign has improved, but lot and block design for single family housing has not changed formore than 50 years. Thus, this paper’s aim is to propose a way to improve residential lot andblock design in Kore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environmental quality. Through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sidential block development (physical andenvironmental analysis, etc), this study identified certain features for improving residentialquality. International cases revealed that through deep lot development enabling privategardens to form in the rear of the houses, high 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 could bedeveloped to ensure such environmental elements of sunlight, privacy, noise, and openness.However, the reality of residential block design in Korea was not the case. A detailed analysisof Korean cases were undertaken to identify problems areas typical to Korean developmentmethods and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in future development.The research identified that deep-narrow lot development, diversity in housing types, lowerplot and floor area ratio, tighter control in site planning, and better public amenities wereneeded to improve quality of single family housing development.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신도시 단독주택지 가로환경 특성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이지연 ;박진아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4(통권 제33호) (200812)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도시공간의 특성에 따른 단독주택지의 유형연구
정재용(Chung Jae-Yong) ; 박훈(Park H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하펜시티 수변공간의 도시디자인 수법에 관한 연구
이범훈 ; 김경배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