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조선시대의 지방도시 읍치의 성립과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formation and planning principles of the provincial city “Eupchi” during the Joseon Dynasty
저자명 김헌규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6 n.2(통권 51호)(2007-04)
페이지 시작페이지(119) 총페이지(18)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 도시
주제어 읍치 ; 계획원리 ; 지방도시 ; 객사 ; 공아 ; 읍성 ; 도성//Eupchi ; planning principles ; Gaeksa ; Gonga ; Eupseong ; Joseon dynasty
요약1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과 같은 지리지와 함께 『조선왕조실록』의 분석을 통해 조선초기의 읍치가 가지고 있었던 일반적 특성을 도출하여, 읍치에 적용된 계획원리와 도시사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lanning principles and historical meaning of Eupchi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 investigated the general character of Eupchi based on analyses of published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The Joseon Dynasty, which started in 1392, set up Eupchi in a position to effectively govern the whole country. Eupchi was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villages, and became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Eupchi was established based on techniques taken from the capital. Following precedence in the capital, Eupchi was transformed with spaces for Confucian ceremonies. The cityscape of Eupchi was also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villages. Such transformation of Eupchi represents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The developments found in Eupchi spread around Korea, and mark an important stage i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Korean urbanization. The Joseon Dynsasty used similar techniques from the capital to establish Eupchi. However, I found some differences between Eupchi and the capital. The Joseon Dynasty recognized that walls could protect not only the capital city but also the country from foreign enemies. Protective walls were required for a capital, but not for Eupchi. In addition, Eupchi did not have commercial institutions supported by the Dynasty. This further demonstrates that different planning principles were used at Eupchi.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시대 지방 읍치의 조영규범에 관한 연구
김기덕(Kim. Ki-Deo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5 (200405)
조선초 객사 건축에 관한 연구
이연노(Lee Yeon-Ro) ; 주남철(Joo Nam-Chul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12 (200412)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논문]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남창근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전통 목구조 살림집의 회첨부 결구방식에 관한 연구
박새미 ; 장헌덕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
객사건축의 연구
주남철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2 n.3 (198606)
맞배지붕 건물의 풍판에 관한 연구
신웅주(Shin Woong-Ju)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3 (201103)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현(Kim Jeong-Hyun) ; 김하나(Kim Ha-Na)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