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고밀토지이용 주변 지역의 단독주택지 개발특성과 과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Assignment of Detached Housing Area Surrounding Area of High-Density Land Use
저자명 김민혜 ; 박종안 ; 채병선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8 n.3(통권 제28호)(2007-09)
페이지 시작페이지(67) 총페이지(16)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단독주택지 ; 용도혼재 ; 다가구주택 ; 주거환경//Detached Housing Area ; Mixed Uses ; Multi-Family Houses ; Housing Environment
요약1 택지개발사업으로 조성된 대부분의 단독주택지에서 비주거시설의 침투에 따른 토지이용 혼재문제가 주거환경 저하의 공통적인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1980년대이후에는 단독주택지내에 다세대·다가구 주택유형이 허용됨으로써 고밀화가 진행되어 주거환경 확보의 문제, 커뮤니티 형성의어려움, 기반시설 용량의 초과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택지조성사업지구 내 단독주택지의 문제점 분석을 위해 전주시 서신지구 단독주택지역을 대상으로 건축물밀도 및 용도, 주택유형, 노상 주차실태 등에 대해 조사·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다가구주택의 밀집으로 인해 개발밀도가 높아짐으로써 세대밀도 및 주차수요가 계획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주거환경 저하, 가로변 불법주차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로는 현재와 같이 많은 도시의 단독주택지에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급증되는 현상을 완화하고, 거주자의 주거환경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거밀도와 공공시설의 계획적인 측면에서의 재검토가 필요한 점과, 공동주택지와 단독주택지로 구분하는 중간단계의 주거지를 도입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요약2 The mixed-up use for land caused by non-residential uses such as commercial uses that simultaneously occurred in most of detached housing area within the housing land development area were the deterioration factor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because of the permission for building multiple family units in detached housing area since 1980s, a lot of problems followed due to high density of the area, such as securing enough open space for the residences, difficulties in forming of neighborhood community and the overburdening of infrastructure. This research analysed buildings, its use, type of the facilities and parking area in detached houses of Jeonju's Seosin district to figure out what the problems of the town are.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Due to the fact that the multiple family units are extremely dense in the area, the demands for parking space are far beyond of the original plan. And the dissatisfactions related to this problem caused a lot of troubles such as deterioration of village environment, illegal parking on roads. From this one can conclude that the building of the multiple family units in urban areas must be controll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own, there must be a whole reassessment in planning of density and the public facilities, and also there should be a further division of zoning for residential use between single dwelling zone and apartment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신도시 단독주택지 가로환경 특성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이지연 ;박진아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4(통권 제33호) (200812)
[논문] 도심형 단독주택지 블록 및 필지의 개발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정재용 ; 박훈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4(통권 제25호) (2006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서울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재용(Chung Jae-Yong) ; 박훈(Park H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2 (2006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단독주택지 재생을 위한 주택 관리 및 정비 지원방안
서수정 ; 임강륜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3 (201012)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논문] 우리나라 신도시 계획에서 생활권 공간구조의 변화
권영상 - 국토계획 : v.46 n.2(통권 183호) (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