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기성시가지내 뉴타운의 생활권계획에 관한 연구 / 길음뉴타운의 소생활권에 대한 계획과 실제의 비교 / A Study on the Neighborhood Unit Plan of New Twon within Urbanized Area
저자명 오병록 ; 김기호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8 n.4(통권 제29호)(2007-12)
페이지 시작페이지(37) 총페이지(18)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뉴타운 ; 생활권 ; 시설이용 ; 동질의식//Newtown ; Neighborhood Unit ; Facility Use ; Sense of Identity
요약1 서울시에서는 강남과 강북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민간위주의 개별사업단위로 추진됨에 따라 사업구역간 그리고 주변지역과 연계되지 못한다는 기존의 재개발사업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생활권단위로 공공부문의 참여와 지원에 의한 광역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뉴타운개발을 도입하였다. 뉴타운개발의 주요 개념인 생활권에 대해서 생활권 계획의 적정성에 대한 분석이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뉴타운지구내의 소생활권에 대하여 개발기본계획에서 설정하고 있는 생활권과 실제 주민들의 행태와 의식에서 나타나는 생활권의 비교를 통해 생활권 계획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민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소생활권 이용시설의 이용범위와 주민들이 의식하고 있는 소생활권(동네)의 범위를 조사하여 계획에서의 생활권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생활권에 대해서는 개발기본계획에서 설정하고 있는 생활권과 주민들의 활동과 의식에 의한 실제 생활권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지하철역이 주민들의 보행을 강력하게 유인하여 생활권의 방향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지구내 차량이 통과하는 도로가 생활권을 구분하고 있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생활권 설정시 지역특성과 주변여건의 고려와 함께 주민들의 생활활동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요약2 The New Town projects in Seoul were started to solve the problems of unbalanced development levels between north and south side of Han River in Seoul and to adress the problems of previous redevelopment projects. Many redevelopment projects had been implemented to improve the urban area in the north Seoul. However, they brought about disconnection among project areas and between project area and peripheral area because they were carried out by private sector on a project by project basis.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new town projects are needed to be carried out by public sector in neighborhood uni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eighborhood unit of the new town projects. A smaller neighborhood unit of the new town master plan is different from that of actuality. In practice, movement of people for subway station and road driven by cars separates neighborhood unit into two parts. The subway stations and roads play an import role of defining the boundary between neighborhood units. So the conditions of the neigborhood, the wider area and the movement of people must be understood by thorough analysis in setting up neighborhood unit.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국내 주거지 계획의 생활권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권혁삼 ; 백혜선 ; 정화진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4(통권 제33호) (2008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논문] 신도시 근린생활권 계획 기준에 관한 연구
김찬호 ; 황희돈 - 국토계획 : v.43 n.4(통권 164호) (200808)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2000년대 아파트단지 계획개념 및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김용국(Kim Yong-Kuk) ; 정진원(Chung Jin-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3 (200903)
서울 도심부의 역사적 도시형태 변화유형과 특성
진영효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1(통권 제34호) (2009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