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인사동 194번지의 都市的 變化와 18세기 漢城府 具允鈺 家屋에 관한 연구 / 장서각 소장 里門內 具允鈺家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about the Diachronic change of Urban tissue and Architecture in Seoul-from analyzing of Gaokdohyung drawn in Joseon Period
저자명 정정남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3(통권 58호)(2008-06)
페이지 시작페이지(23) 총페이지(21)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漢城府 ; 家屋圖形 ; 서울 ; 里門內具允鈺家圖形 ; 도시적 변화 ; 태화빌딩 ; 인사동 194번지//Hanseongbu ; Gaokdohyung ; Seoul ; building lot ; urban tissue ; house ; individual building
요약2 Seoul has been watched at its symbolic image which is the capital of one nation. since then Joseon was established. So, most of study about Seoul placed too much emphasis on like next; urban organization, palace, government office and public establishment. On the other hand, it is lacking in study of the individual building, the residential district, the change of building-lot. This study is to make up a deficiency from study of Gaokdohyung(家屋圖形site and floor plan). Gaokdohyung(家屋圖形) is drawings of building lots & houses existed in Hanseongbu 漢城府(modern Seoul). It is possessed in Jangseogak and all 24 sheets. It is merely 24sheets but has many urban information in that. Housing of number 116 expressed in Gaokdohyung are consist on the house of Sadaebu士大夫(noble class)·Joongin中人(middle class)·Sangmin常民(commoner), Villa(Byeolseo別墅) and connecting stores etc. Houses in Gaokdohyung has characteristic that most building lot is very specious and owners are variety of social position. The study of Gaokdohyung will progress through analyzing diachronic change of individual building lot & house. In the event,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find out change of urban tissue & architecture. So, i intend to seek for entity of urban tissue and urban house in Joseon Period differ from now, and to study out those have been changed continuously forward now.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의친왕부 사동본궁을 통해 본 대한제국기 궁가의 특징
정정남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411)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허유진(Huh, Yoo-Jin) ; 우동선(WooDon-S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7 (201307)
대한제국기 한성부 종로일대지역의 住商복합구조
정정남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1)
조선후기 宮家의 공간구성 및 배치
정정남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논문]덕수궁 정관헌(靜觀軒)의 원형, 용도, 양식 재고찰
허유진(Huh, Yoojin) ; 전봉희(Jeon, BongHee) ; 장필구(Jang, PilGu)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3(통권 118호) (201806)
[논문] 서울 북촌한옥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송인호 ; 김영수 ; 조은주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8 n.2(통권 63호) (200904)
가회동 177-1번지 저택에 대하여
우동선 ; 허유진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05)
박길룡의 초기 주택개량안의 유형과 특징
김명선(Kim Myung-S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 n.4 (201104)
[논문] 도시형한옥 주거지의 블록구획과 주거평면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우근 ; 서현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2 n.3(통권 88호) (201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