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조선초기 경복궁의 공간구성과 6조대로 / 광화문 앞의 행사와 그 의미
저자명 김동욱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4(통권 59호)(2008-08)
페이지 시작페이지(25) 총페이지(18)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궁성 ; 황성 ; 개경 ; 남경 ; 오례의//Inner Palace Wall ; Outer Palace Wall ; Gaegyeong ; Naning ; Five Rituals
요약1 조선초기 태조조에서 세종조 사이에 조성된 경복궁 공간구성의 큰 특징 중 하나는 궁성과 황성의 이중 성벽을 갖추지 않고 궁성만 둔 점이었다. 경복궁에 황성이 설치되지 않은 이유를 본고에서는 황성을 두지 않게 된 고려후기의 궁궐운영 방식을 답습한 결과로 보았다. 광화문 앞에는 6조대로가 열리고 좌우에 중앙의 주요 관청이 도열하였다. 6조대로와 좌우의 관청이 지어진 시기를 본고에서는 태종 연간으로 보았으며 6조대로가 조성된 배경에는 당시 明나라의 南京에서 궁궐 황성 남문 앞에 좌우로 5부의 행정관청과 5군부를 설치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았다. 광화문과 6조대로의 공간은 세종 때 와서 국가적인 의례가 치러지고 왕실의 행사가 치러지는 장소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왕실의 행사가 있을 때 성내 주민들은 6조대로에 모여서 행사를 관람할 수 있었다. 이것은 경복궁이 궁성만 갖추고 황성을 두지 않았던 데서 가능한 일이었으며 궁성과 황성을 갖춘 고려의 궁궐이나 중국 궁궐에서 경험할 수 없는 것이었다.
요약2 The fundamental formation of Gyeongbok Palace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and King Sej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most remarkable spacious feature of the palace is that it has an inner palace wall without an outer palace wall. The absence of the outer palace wall was reasoned that the palace managerial regulations of the late Goryeo Dynasty did not allow the outer palace wall. Gwanghwamoon was the main gate of the palace, and the office buildings of the Six Ministries we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in front of the main gate. A wide road called Six Ministires Avenue was made between the builidings. The avenue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the second king of Joseon, Taejong, and it was assumed that this arrangement was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office arrangements of Nanjing, the capital city of the Ming Dynasty. Gwanghwamoon held national rituals as well as the civic and military state examinations in front of the gate. The avenue was decorated with flowers and silks when kings and the royal families, or Chinese envoys enter the gate, and the civilians watched the parade. Because there was no outer palace wall, all the events held at Gwanghwamoon and the Six Ministries Avenue were opened to the public. It was the unique feature of Gyeongbok Palace that the palaces of Goryeo dynasty and China did not have.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7 n.2 (199806)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경복궁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장재혁(Chang Jae-Hyeok) ; 한동수(Han Dong-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4 (200404)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15세기 궁궐 正殿 영역의 내부공간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
이정국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3 n.3 (200409)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지적원도를 통하여 본 서울의 옛 도시조직
이상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