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경복궁배치도'의 제작시기와 史料價値에 대한 연구
저자명 이혜원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4(통권 59호)(2008-08)
페이지 시작페이지(43) 총페이지(22)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경복궁 ; 경복궁배치도 ; 경복궁전도 ; 북궐도형 ; 경복궁 중건//Kyeongbokgung ; Kyeongbokgung-Baechido ; Pukkwoldohyong ; Kyeongbokgung-Jeondo ; Reconstruction of Kyeongbokgung
요약1 경복궁은 고종 2년(1865)에 시작된 중건공사를 통하여 궁궐로서 위상을 찾았으나??20세기 초에 대부분의 건물이 헐렸다. 경복궁이 본 모습을 잃기 직전인 1907년경??경복궁의 각 건물과 배치상황을 소상하게 그린 「북궐도형」이 남아 있다. 이외에 경복궁의 또 다른 배치도가 고려대학교박물관에 「경복궁배치도」라는 명칭으로 소장되어 있다. 「북궐도형」과 제작 방법 및 표현 방법이 거의 같은 형태의 도면으로 그보다 앞선 1888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근거는 이 도면에 표현된 건물의 배치는 1890년 이후의 변화된 모습을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경복궁배치도는 건물의 용도에 대하여 북궐도형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발굴조사결과 드러난 유구와 일치하고 있다. 고종초 경복궁중건시에 제작된 것으로 사료에 나타나는 경복궁전도는 건축물의 형태와 배치를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그린 도면으로 추정된다. 이후에도 경복궁의 화재에서 소실(파괴)된 건물을 복구하고 수리하는 과정에서 도면이 생산되었을 것이며 이러한 도면이 바로 경복궁배치도이다. 경복궁배치도의 사료적인 가치는 다음과 같다. 1) 고종대 경복궁 중건 초기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이고, 수정전 영역과 흥복전 영역은 중건초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 1890년 이후 경복궁의 변화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시기는 경복궁에 함화당영역, 집옥재가 추가로 건설된 시기이다. 3) 도면에 표기된 궁중생활에 관련된 건물용도와 소속관계가 표기되어 1885년~1890년 사이의 경복궁 건물 이용 상황을 파악 할 수 있다.
요약2 Kyeongbokgung succeeded in regaining its status as a royal palace after the reconstruction that began in the second year of King Gojong(1865) only to have most of its buildings taken down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tunately, however, there is the Pukkwoldohyong, which drew out each of the buildings of Kyeongbokgung and their arrangement in details in 1907 when the royal palace lost its original appearance. And there is another plot plan of the royal palace at the Korea University Museum, which labeled it Kyeongbokgung-Baechido. The map presents almost the same plan as Pukkwoldohyong in terms of making and expressive methods, being estimated to have been made in 1888 since its building arrangement doesn't show the changes made after 1890. The map also offers more information about the uses of each building than Pukkwoldohyong and matches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relics. Kyeongbokgung-Jeondo, which is recorded to be made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the palace in the early years of King Gojong in historical materials, describes the shapes and arrangements of the buildings in a concrete and realistic fashion. The Kyeongbokgung-Baechido seems to be one of the plans made in the process of restoring and repairing buildings that were lost or destroyed in fire.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조선초기 경복궁의 공간구성과 6조대로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4(통권 59호) (200808)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경복궁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장재혁(Chang Jae-Hyeok) ; 한동수(Han Dong-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4 (200404)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논문] 조선전기 경복궁의 침전(寢殿)과 후원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이정국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0 n.6(통권 79호) (201112)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7 n.2 (199806)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