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건축설계 측면에서 본 수덕사 대웅전의 평면과 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
저자명 김도경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4(통권 59호)(2008-08)
페이지 시작페이지(97) 총페이지(16)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목조건축설계 ; 한옥 ; 평면 ; 용척 ; 용재 ; 비례단위 ; 수덕사 ; 대웅전//Wooden architecture design ; Hanok ; Floor plan ; Module system ; Scale ; A unit of section size ; Sudeoksa ; Daeungjeon
요약1 본 연구는 한국목조건축을 건축 계획적 측면에서 분석해 나가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덕사 대웅전을 대상으로 평면, 종단면 가구 구성과 부재의 단면 크기(用材)를 비례단위 및 用尺과 연관시켜 건축 계획적 측면의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덕사 대웅전에 적용된 用尺은 1자 307.6~318.3㎜의 범위(평균 312.9㎜)에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기둥에는 안쏠림 기법이 적용되었는데, 기둥 상부를 기준으로 하여 주간을 설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평면은 도리통 3칸, 양통 4칸으로 도리통 3칸과 양통 4칸을 각각 동일한 주간으로 설정하였다. 추정용척으로 환산한 도리통 주간은 각 15척으로 전체 45척이며, 양통 주간은 각 8.5척으로 전체 34척이다. 전체 평면비는 약 4:3으로 구고현법의 비례가 적용되었다. 넷째, 단면 구성은 공포와 가구 부재 모두 일정한 단면 크기를 지니는 비례단위체계가 적용되었다. 用材는 추정용척으로 폭 0.45척, 높이 0.75척으로 계획된 것으로 추정된다. ?高는 추정용척으로 0.27척과 0.25척의 것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극히 일부에 0.30척의 것이 사용되었다. ?高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보수의 결과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材의 폭과 너비 사이에는 3:5의 비례가 적용되었으며, 材의 폭과 ?高 사이에는 각각 5:3, 9:5, 3:5의 비례가 확인된다. 다섯째, 종단면 가구의 높이 구성에 있어서 각 도리 중심선상의 가구부재는 최하단을 제외하면 서로 높이가 일치하지 않고 있다. 이는 봉정사 극락전에서 모든 가구 부재의 높이를 일치시킨 것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종단면 가구 계획에 있어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섯째, 종단면 가구 계획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① 평면의 구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유기적 관계에서 파악하여 장연과 단연이 교차하는 지점을 高柱 중심선상에 설정한 후 하중도리와 상중도리의 수평위치를 결정하였다. ② 지붕과 서까래의 물매를 결정한 후 이에 맞추어 도리와 장혀의 위치와 단면 크기를 결정하였다. ③ 도리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아래로 내려가면서 材?로 이루어진 가구 및 공포 부재를 중첩시켰다. ④ 화반의 높이를 材의 높이에서 벗어난 높이로 조절하여 중첩된 가구 부재의 높이를 맞춤으로서 각 도리 중심선상의 가구(또는 공포) 부재를 인접한 도리 중심선상의 가구 부재와 유기적으로 연결시켰다.
요약2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explain the architectural designing characteristics of Daeung-Jeon in Sudeok Temple. For this purpose, After I set up several assumptions in the ba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ood architecture, and then, analyzed floor plan, structural formation and section sizes of structure and bracket members in relation to module and unit. As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process of plan and structure are follows. ① 1 ja(尺), the unit applied to this building is measured 307.6~318.3㎜ and the average is 312.9㎜. ② It is estimated that the floor plan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top of columns. By the applied unit, every bay of the front side and the side is each designed by 15 ja and 8.5 ja. ③ The section is composed of piled members which have same section size. As basic module of section size called 'jae(재;材)', it is estimated at width 0.45 ja by height 0.75 ja. And as the secondary module, height between jae and jae is called 'gyoe(계;?)' and it was desinged by three height size of 0.25 ja, 0.27 ja and 0.30 ja.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숭례문과 흥인지문의 구조체계 비교 연구
이왕기(Lee Wang-Kee) ; 김상조(Kim Sang-J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한국 전통건축 팔작지붕의 架構에 관한 연구
양재영(Yang Jae-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2 (200902)
[자료] 한옥의 설계와 시공기법
김도경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6(통권 61호) (200812)
조선후기 선자연 치목기법에 관한 연구
김왕직(Kim Wang-Ji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고려시대 목조건축 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황세옥 ; 김봉건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911)
안초공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혜린 ; 황종국 - 대한건축학회 춘계 우수졸업논문전 수상논문 개요집 : 제6회 (201004)
조선왕릉 8간(間) 정자각(丁字閣) 고찰
김왕직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05)
수원화성의 기초공법 고찰
김왕직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705)
근대기 목조 지붕트러스의 유형분류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박창범(Park Chang-Beom) ; 김미연(Kim Mi-Yeon) ; 김태영(Kim Tai-You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