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국내 주거지 계획의 생활권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Spatial Organization of Neighborhood Applying for the Urban Residential Design in Korea
저자명 권혁삼 ; 백혜선 ; 정화진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4(통권 제33호)(2008-12)
페이지 시작페이지(39) 총페이지(22)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주거지 계획 ; 생활권 ; 공간구성 ; 변화//Urban Residential Design ; Neighborhood ; Spatial Organization ; Transition
요약1 도시공간에서 주거지는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포괄하는 거주자의 생활양식을 담는 물리적 공간으로서, 합리적인 생활권 설정이 주거지 계획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삶의 질 향상으로 거주자의 생활양식이 변화됨에 따라 생활권 계획개념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주거지 계획에 적용된 생활권 개념과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향후 바람직한 생활권 계획개념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생활권 개념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주거지 사례를 선정하여 생활권 내의 학교, 근린공원, 상업시설 등의 배치관계와 보행 및 녹도, 대중교통체계 등의 연결관계를 분석하고 현장답사를 통해 실제 공간이용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생활권시설 배치관계의 경우, 주거지 계획 초기에는 근린생활권 중심에 학교, 상업시설 등이 배치되었으나, 최근에는 주거지 중심의 생활가로를 따라 배치되었다. 생활권 연결관계의 경우, 도시차원의 생활권 계획이 이루어지면서 보행 및 녹도를 통해 인근생활권과 연계되었으며, 최근에는 대중교통중심의 생활권 계획이 적용되고 있다. 이는 폐쇄적이고 도시성이 결여된 생활권 계획에서 벗어나 생활권을 연계하고 확장하는 계획개념이 적용되고 있으며, 변화하는 대중교통시스템을 반영하여 생활권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바람직한 주거지의 생활권 계획방향은 개방적이고 상호 연계된 보행 및 대중교통중심의 계획방식이 적용되어야 하며, 이와 연계하여 생활권중심의 가로공간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기법이 필요하다.
요약2 In an urban space, the neighborhood can be defined as a spatial scope that accommodates everyday life including cultural and social activities events, and thus establishing a reasonable Neighborhood boundary becomes the first step for a good residential planning. Recently, the transition of neighborhood planning concept is required resulting from improvement of life quality. This study proposes new planning technique for neighborhood for the future direction by analyzing the existing concepts and applied cases in Korean residential district. For the analysis, we chose the residential districts that show the neighborhood planning concepts and the structure of spaces, and analyzed how facilities such as schools, parks, and commercial facilities are placed and how pedestrian & green pedestrian passages an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are connected. In particular, we identify the problems and seek the direction of neighborhood planning by investigating the residents' actual usage. The results show that facilities are placed in the center of neighborhood in the early stage of neighborhood planning, but recently they are sited along the street that is the center of neighborhood. Also, the neighborhood in urban residential district is connected via pedestrian circulation systems, and recently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become a center of neighborhood. The findings indicate the changes from a neighborhood that is closed and lacks urbanism to a neighborhood that extends by connecting surrounding areas and recently reflects the changing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proposed neighborhood planning concepts is open and pedestrian-oriented in conjunction with public spaces such as public transportation stops and various planning techniques to connect and utilize the street spaces are needed.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2000년대 아파트단지 계획개념 및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김용국(Kim Yong-Kuk) ; 정진원(Chung Jin-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3 (200903)
[논문] 신도시 근린생활권 계획 기준에 관한 연구
김찬호 ; 황희돈 - 국토계획 : v.43 n.4(통권 164호) (200808)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생활권 개념의 변화에 따른 주거지 계획의 시기별 특성 변화
이종화 ; 구자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v.20 n.4 (200908)
[논문] 공동주택 생활가로의 활동특성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김성일 ; 박진아 ; 구자훈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2(통권 제31호) (20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