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도시 학교공원화 사업의 지역사회 참여에 관한 연구 / 미국 SPARK 공원 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ty Participation in School Park Programs - Focused on the SPARK Park Program in USA
저자명 이형숙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4(통권 제33호)(2008-12)
페이지 시작페이지(245) 총페이지(14)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학교공원화 사업 ; SPARK 공원 ; 주민참여//School Park ; SPARK Park Program ; Community Involvement
요약1 본 연구는 미국의 학교 공원화사업인 SPARK 공원사업의 진행과정, 주민들의 참여방식, 민-관협력체제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여 지역사회와 주민참여에 대한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교시설 공공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함께 SPARK 공원사업의 배경 및 발전과정에 관한 문헌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실제 SPARK 공원들의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관이 아닌 민간단체의 주도로 추진되는 SPARK 공원사업은 공원조성을 위한 모금운동에서부터 공원 디자인, 시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학교구성원 및 지역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고, 저소득층의 녹지확보와 도심 이미지 변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주민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SPARK 사업은,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국내 행정주도형 학교 공원화사업의 문제점을 보완하는데 몇가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사업대상 학교선정과 예산분배시 지역사회의 준비 정도, 주민들의 참여의지에 대한 평가가 고려되어야 하며, 둘째,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부터 학생과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사용자 평가를 확대하고, 셋째, 학교 공원은 행정사업의 결과물이 아니라 학교구성원 및 지역주민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완성되어가는 것이라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요약2 School park projects in Korea have been popular throughout the country since 2001 with the growing interests of local governments. Despite the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benefits, however, the government-driven school park projects have resulted in some issues and limits. Lack of community involvement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projects and must be addressed for successful school park projec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discussed community involvement in school park program by in-depth study of SPARK Park Program in USA and its successful cases. The review of SPARK park development process from fundraising, planning, design, to construction provided some insights of community-driven school park projects. First, school park projects should be perceived as ongoing and evolving processes by communities, not one-time projects. Second, school parks must be the results from a planning/design process involving all stakeholders. Participatory planning will promote residents’ collective interests and ownership of school parks. Finally, willingness of the neighborhood and partnerships between the school and community groups need to be considered and evaluated in the process of school selection for school park projects.
소장처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송병준 ; 주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0 n.1(통권 84호) (201102)
[논문] 도시 내 대규모 공원설계의 건축적 해석
김도경 ; 김승현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8 n.3(통권 제28호) (200709)
[특집] 학교공원
김종석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3 n.07 (200907)
지역 중심생활공간으로서 학교시설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차주영 ; 임현성 ; 심경미 - 연구보고서(정책) : 2009 n.6 (20091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