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역사문화자원을 고려한 국내 주거단지 사례연구 / 개발프로세스와 공간요소 관점에서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Housing Complex Considered with Historic Cultural Resources in Korea - Focused on the Implication from Development Process and Housing Space
저자명 이화연 ; 황규홍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2(통권 제35호)(2009-06)
페이지 시작페이지(5) 총페이지(20)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역사문화자원 ; 주거지정비 ; 개발프로세스 ; 주거단지//Historic Cultural Resources ; Residential Redevelopment ; Development Process ; Housing Complex
요약1 본 연구는 주거지 정비 및 개발에서 발견되는 역사문화자원을 주거단지 계획에 반영한 사례조사를 통하여 개발프로세스의 개선점, 공간요소의 활용성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주거지 정비지구의 역사문화자원의 개념을 고찰하고 그 유형을 건조물, 가로, 장소, 자연, 유적자원의 5가지로 분류하여, 20개 국내 사례를 통해 사업 진행프로세스와 공간요소별 역사문화자원 반영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그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개발 프로세스 측면에서 도출한 시사점 첫 번째는 등록문화재의 활용에 대하여 적극적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과 둘째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시 주민참여 과정을 통한 사전 협의의 필요성, 셋째로 관리주체와 사업 추진 주체의 불일치로 야기되는 문제극복을 위한 디자인 및 관리와 관련한 상호 협의절차의 필요성, 넷째로 문화재 지표조사의 시기 및 절차적 부적절함으로 역사문화자원의 적극적 계획 반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책 필요성 등이다. 주거단지 공간요소 측면에서 도출할 수 있었던 주요 시사점은 첫째, 지역 및 도시 차원에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단지 경계부에 조화로운 공공디자인 추구, 둘째, 가로자원과 가로변 건물의 맥락적인 조화의 필요성, 셋째, 역사문화자원의 공공성과 주민의 프라이버시의 충돌에 대한 고려, 마지막으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주동디자인의 적극적인 반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요약2 This study explores implications in housing complex considered with Historic & Cultural Resources in Korea. It includes case analysis study of 20 housing complex sites with two point of view. The one is what the problems are to applicate HCR on the process of complex design, and the other point is the spatial approaches about considering the HCR to the compl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four implications from the process analysis such as needs to grope the way of utilizing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s in the development of housing complex, needs to converge residents’ opinion about design, needs synthetic access through cut across the main body of management, and needs to correct the order of cultural assets surface examination. Second, there are four implications from the spatial approaches. Designer should consider the public design on boundary of housing complex from urban perspective. Also, there needs to consider the building scale and the width in the street design, and needs to consider separation of public and privacy on complex designing. Lastly, it needs to consider positive building design not only the landscape design for considering HCR. The results call the continuous inquiry to solve the explored implication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서울 도심부의 역사적 도시형태 변화유형과 특성
진영효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1(통권 제34호) (20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