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주거환경개선사업의 효과분석을 통한 개선사항에 관한 연구 / 전주시 현지개량방식 주거환경개선지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eformation Proposal by Analysing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gram - Focusing 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strict of Local Upgrading Method in Jeonju City
저자명 문준경 ; 한성천 ; 채병선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2(통권 제35호)(2009-06)
페이지 시작페이지(91) 총페이지(16)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주거환경개선사업 ; 현지개량방식 ; 주택개량 실태 ; 사업효과 ; 지구지정//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gram ; Local Upgrading Method ; Upgrading of Housing Condition ; Program Effect ; Selecting Districts
요약1 주거환경개선사업은 80% 이상이 현지개량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중소도시에서 주거환경의 향상, 도심 활성화에 기여, 주거문화의 계승·발전과 도시경관의 보전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사업지구의 위치선정 및 내용에 따라 그 효과가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규모 도시인 전주시에서 2001~2005년까지 현지개량방식으로 진행한 총 17개의 주거환경개선지구를 대상으로 토지이용의 변화, 주택개량 실태 및 주민만족도 등의 조사·분석을 통해 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고, 향후 2단계 사업에 적용해야 할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도로 및 주차장 등의 기반시설이 확보되면서 점차적으로 주택개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로정비 위주의 사업으로 양질의 공공시설이 부족하며, 주택수요가 많은 곳에 다가구주택의 다량공급으로 오히려 주거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1단계사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2단계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1단계사업과 공간적·내용적으로 연계하고 주민요구에 부합하여 공공시설을 합리적으로 설치하며, 재개발 예정지구와 연접한 지역에 일조와 경관차폐 등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요약2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gram (REIP)’s effect has been found either to be affirmative or negativ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location and contents of a project zone. This study drew the outcomes and assignments of REIP program through a survey and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land use, the housing renov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targeting a total of 17 zones, which were undertaken in the on-the-spot development system from 2001 to 2005 in Jeonju, and then, proposed the improvement to be applied to the forthcoming 2nd phase project. As a result, due to a lack of quality public facilities from a road improvement-oriented projec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as appeared to have deteriorated because of a subsequently high supply of multiplex housing. Therefore, the 2nd phase projec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1st phase project spatially and content-wise, and prevent a secondary problem in a nearby area to a redevelopment zon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추진현황과 발전방안
김항집 ; 이창호 ; 배웅규 ; 이동환 ; 서수정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39호 (2010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문제점과 정책·입법과제에 관한 연구
이창호(Lee Chang-H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2 (20120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특집] 도시재생 : 도시중심지의 종합관리와 과제
배웅규 ; 김상일 ; 김항집 ; 류영국 ; 양재섭 ; 이석환 ; 이제선 ; 임희지 ; 장경철 ; 최정우 ; 홍경구 ; 홍미영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43호 (201010)
단독주택지 재생을 위한 주택 관리 및 정비 지원방안
서수정 ; 임강륜 - 연구보고서(기본) : 2010 n.3 (2010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친환경 근린개발을 위한 도시설계 기법연구
유광흠 ; 조상규 ; 오성훈 ; 성은영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11 (200912)
‘도시형 생활주택’ 계획방향 및 설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김진욱 ; 김영현 ; 이민우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2 (2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