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뉴욕시 공업지역의 재생 사례 및 기법에 관한 연구 / New York City’s Cases and Techniques for Revitalizing Manufacturing Districts
저자명 배웅규 ; 김지엽 ; 양윤재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2(통권 제35호)(2009-06)
페이지 시작페이지(165) 총페이지(16)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공업지역 ; 도시재생 ; 리조닝 ; 특별목적지구 ; 복합용도지구 ; 뉴욕시//Manufacturing District ; Urban Regeneration ; Rezoning ; Special Purpose District ; Mixed Use District ; New York City
요약1 뉴욕시 공업지역은 사회적, 경제적, 역사적 여건의 변화로 인해 최근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도시 내 제조업종의 쇠퇴, 지가 상승 등으로 공업용도들이 더 이상 뉴욕시내에 남아있기가 어려워 졌고, 이에 따라 기존 공업지역들이 쇠락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쇠락해 가는 공업지역들의 재생과 도시 내 제조업 및 공업용도의 순기능을 위해 도시형 공업용도를 유지하는 것이 뉴욕시가 직면한 주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뉴욕시 공업지역의 재생유형은 자연발생적 재생유형과 계획적 정비재생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자연발생적 재생유형의 경우 시가 자연적으로 재생되고 있는 지역의 흐름을 유지하고 지원하기 위해 역사보존지구지정 뿐 아니라, 향후 발생할 신규개발을 위해 맥락조닝기법 등을 사용하여 지역재생의 맥락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계획적 정비재생유형의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 공업용도를 기본으로, 주거나 상업, 업무시설의 혼합을 통한 복합용도지역으로 육성하고자 복합용도지구, 특별목적지구 지정 등을 통하여 지역재생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뉴욕시 공업지역의 재생은 단지 물리적 환경개선과 전면적 용도변경이 아닌, 사회적, 경제적 재생에 초점을 두고 기존 지역의 맥락과 잠재력을 최대한 살리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뉴욕시의 경험은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바람직한 재생이 시급한 시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요약2 Manufacturing districts in New York City have changed dramatically over the last several years du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particular, the decline of manufacturing in the city and the rise of real estate prices have resulted in the decline or abandonment of existing manufacturing areas. Therefore, revitalizing such area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with which New York City now has to deal. This study reveals two patterns in which New York City manufacturing areas have been or are being revitalized. The first is spontaneously triggered renewal that can be seen in the Meatpacking District and DUMBO. In this pattern, the districts were initially revitalized by spontaneously emerging new uses, such as residential or commercial uses, and the city has encouraged this movement by designating them as Historic Preservation Districts or utilizing urban planning tools to maintain the districts’ characters. The second pattern is that of city-oriented renewal and includes cases like Long Island City, Hunts Point, Williamsburg/Greenpoint, and West Chelsea. In order to maximize the potential of the districts’ existing manufacturing use in these cases, New York City has guided the urban renewal projects through the rezoning process and has adopted all possible means, including Special Purpose District designations, Mixed Use District designations, TDRs, and inclusionary zoning. Consequently, this study finds that the New York City’s experiences in revitalizing manufacturing districts focuses on social and economic perspectives rather than physical renewal planning, and contains various policy implications for Seoul, which faces similar urban regeneration issues, especially for manufacturing district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수변공간 문화재생의 계획적 특징에 관한 연구
김영환(Kim You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8 (2008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장소만들기를 통한 도시재생전략에 관한 연구
이범훈 ; 김경배 -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