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전통주택에서의 조망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 전통마을 입지유형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ew Landscape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Location Types
저자명 신진동 ; 이창수 ; 이우종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3(통권 제36호)(2009-09)
페이지 시작페이지(49) 총페이지(12)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전통마을 ; 조망경관 ; 주조망대상 ; 안대(案對) ; 좌향(坐向)//Traditional Village ; View Landscape ; Principal View Object ; Andae ; Chwahyang
요약1 본 연구는 전통마을의 입지특성별 사례를 중심으로 전통주택의 조망경관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전통마을은 동일한 입지 조건에 동일한 주거공간을 갖는 곳은 존재하지 않으며, 전통한옥은 빼어난 산봉우리를 바라보고자 하는 경관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때문에 구체적 입지특성에 차이를 보이는 한개, 옻골, 해저마을을 사례지로 선정하여 주거공간의 조망경관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전통마을 주요주택의 조망경관인 안대에 대한 개념정립이 모호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에 따라 안대를 설정하는 방식 차이와 통일된 한자표기 방식의 부재가 이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주택의 경관요소인 안대를 풍수적 좌향론(坐向걩)을 바탕으로 개념을 정립하였다. 정립된 개념을 바탕으로 사례지를 분석하여, 전통주거의 좌향이나 건축적 특성에서 관망될 수 있는 조망경관을 안대와 주조망 대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국 전통마을의 입지특성은 전통주거공간의 조망경관 구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약2 The study investigated view landscape of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housing by analyzing the type of location in traditional villages. Any traditional village doesn’t have the same residential space and condition. Also, traditional Han-ok uses a outstanding view of mountaintop as landscape element. Therefore, we analyzed on view landscape of the characteristics of Hangae, Otgol and Haejeo Villages, which have specific differences of the loc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Andae(案對),’ which is major view landscape of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s, has obscure meaning. This has been defined differently among researchers and there is no standard notation in Chinese characters. Thus, the present study defined the specific concept of Andae based on the geomantic Chwahyang(坐向) theory. By applying the defined concept to the case villages, view landscape that was observed by Chwahyang of residential space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was able to divide in Andae and principal view object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location of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villages has a considerably effect on the composition of principal view landscape i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전통마을의 길 구조에 관한 연구
신진동 ; 이우종 ; 이창수 - 국토계획 : v.43 n.4(통권 164호) (200808)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전통마을에서 形局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이현병(Lee Hyun-Byung)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0 (200910)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양승정(Yang Seung-Jung) ; 김용승(Kim Yong-Seung) ; 박용환(Park Yo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4 (200604)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길의 구조로 본 한국전통마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양승정(Yang Seung-Jung) ; 박용환(Park Yo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7 (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