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가로공간 형성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수립과정의 연구 / 독일-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Process of District Unit Planning for Urban Streets - Based on the Case Studied of Germany and Korea
저자명 이세준 ; 이석정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4(통권 제37호)(2009-12)
페이지 시작페이지(163) 총페이지(22)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계획 ; 지구단위계획 ; 지구단위계획지침 ; B-Plan ; Rahmenplan//Urban Planning ; District Unit Plan ; District Unit Plan Guideline ; B-Plan ; Rahmenplan
요약1 본 연구는 한국의 지구단위계획 도입 배경이 되었던 독일의 지구단위계획을 비교 사례로 선정하였고, 독일의 사례와 한국의 사례를 통하여 현행 지구단위계획 수립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점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 사례 비교에 앞서 연구의 배경이 되는 도시의 물리적 공간 관리의 중요성과 도시 관리의 수단으로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을 살펴보고, 아울러 독일과 한국의 도시계획 전반적인 계획체계를 살펴봄으로서 지구단위계획 지침이 만들어지기까지의 상위 계획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 분석에는 지구단위계획의 수많은 지침 요소 중 도시의 가장 기본적인 물리적 공간인 가로 공간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건축적 요소로서 건축선, 광장 및 오픈스페이스, 건축물 높이의 세가지 지침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국 지구단위계획을 통하여 도시 환경을 올바르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이 가진 지역적 맥락을 고려하고, 보행자의 입장에서 가로공간이 보다 쾌적한 공간으로 연출될 수 있도록 도시적 차원에서의 공간 계획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보다 상세한 공간 디자인 검토를 통한 지구단위계획 수립과정의 노력이 필요하다.
요약2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of present District Unit Plan (DUP) of Korea and suggests improvement by selecting DUP of Germany as a comparison case. DUP of Germany has been the base of DUP of Korea from the very early stage of its introduction. Prior to case comparison, as the background of this survey, the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of physical space and the role of DUP as means of urban management were studied and overall process of urban plan in Germany and Korea were researched in advance. After having been acquainted with them, superior planning process preceding DUP guideline could be clarified. In the case analysis, building line, open space, building height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architectural factors deciding and forming the street space, the most essential physical element of urban space. Consequently, if urban environment is expected to be properly controlled by regional plan, regional context of each region should be considered enough and overall planning for urban space should be precededin order to make more comfortable and pedestrian-oriented street space. Based upon them, efforts of studying detailed space design should be accompanied in establishing guidelines of DUP.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개념으로서 기능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서현(Seo 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6 (200906)
장소 가치향상을 위한 공공건축 통합화 방안 연구
조준배 ; 임현성 ; 서수정 ; 권미주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3 (20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