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외암마을의 공간구조에 따른 수공간 이용 특성 연구 /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Space in the Spatial Structure of Oeam Folk Village
저자명 정동섭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2(통권 제39호)(2010-06)
페이지 시작페이지(23) 총페이지(22)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외암민속마을 ; 공간구조 ; 수공간 이용특성 ; 영역성 ; 안전성 ; 쾌적성 ; 경관//Oeam Folk Village ; Spatial Structure ; Characteristics of Waters Space ; Territory ; Safety ; Amenity ; Landscape
요약1 본 연구는 외암민속마을의 공간구조특성을 중심으로 마을, 단위군체, 단위주호의 공간위계에 따른 수공간의 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을공간구조는 녹지영역, 수변영역, 생활가로영역, 공공시설, 그리고, (공동)우물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반가와 민가의 주거지로 구성되어있다. 휴먼스케일의 개방감있는 돌담길 가로의 형태는 T자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 수공간이 마을가로와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있다. 수공간 체계는 외암천 및 소하천의 자연하천과 주거지 내부를 통과하는 인공수로, 그리고 주거지 생활영역을 형성하는 (공동)우물로 구성되어 있다. 수공간 이용특성은 영역성(경계기능, 공간구분), 안전성(기반시설, 동선체계), 쾌적성(생활공간, 커뮤니티공간), 경관(친수공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수공간이용 특성의 현대 단지계획적 의미는 공간구조의 기본 틀과 공간구조에 따른 경계부로서의 영역기능, 보행가로와의 유기적이고 입체적인 연계기능과 자연형 배수체계의 안전기능, 상징성, 커뮤니티 중심공간, 휴식 등의 다양한 생활공간으로서 장소적 기능, 시각적 개방성 및 연속성, 휴면스케일의 가로경관의 경관기능이다. 이와 함께, 외암마을의 수공간 성격은 과거의 동족마을에서는 주민의 생활중심공간이었으며, 현대에는 민속마을로서 거주민을 비롯하여 방문객을 위한 공공성격의 경관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변화되고 있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space in the spatial hierarchy of Oeam Folk Village. The spatial structure consists of green space, water space, streets, and houses which are clustered around the well. The village streets, mainly T-type, are organically connected with streams in the spatial structure. The water space system of Oeam Village is composed of a natural stream, an artificial stream and the wells for private or public us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s space can be summarized as territory, safety, amenity, and landscape. The meaning of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contemporary urban design is that water space can be a strong framework of the spatial structure, and can provide a good sense of territory as an edge. It is also an organic connection with pedestrian streets, a natural drainage system, and a multi-purpose symbolized place for the community, providing visual openness, continuity, and human scale streetscape. Nowadays the water space became an important public place for both of the residents and visitors of the historic folk villag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안동 하회마을의 지형과 가옥의 입지에 관한 연구
정연상(Jung Yun-Sa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7 (201007)
[논문] 전통마을의 길 구조에 관한 연구
신진동 ; 이우종 ; 이창수 - 국토계획 : v.43 n.4(통권 164호) (2008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공동주택 외부공간과 커뮤니티 활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형언 ; 이동훈 ; 손동욱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1(통권 제61호) (201402)
한국전통마을 공간구성의 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양승정(Yang Seung-Jung) ; 김용승(Kim Yong-Seung) ; 박용환(Park Yo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4 (200604)
외암민속마을의 주생활 특성 및 주거 만족도에 관한 연구
신문기 ; 정동섭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2 n.01 (통권41호) (2010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길의 구조로 본 한국전통마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양승정(Yang Seung-Jung) ; 박용환(Park Yong-Hw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7 (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