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고려 江都의 입지와 도성구조 / The Location and Urban Structure of Gangdo in Goryeo Dynasty
저자명 김윤미 ; 최종현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2(통권 제39호)(2010-06)
페이지 시작페이지(151) 총페이지(20)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강도(江都) ; 강화도 ; 도성 ; 입지 ; 간척//Gangdo ; Ganghwa Island ; Capital City ; Location ; Reclamation
요약1 江都는 대몽항쟁기 고려의 수도였다. 본 연구는 당시 개경에서 江都로 천도하게 된 배경을 고려 중기 입지관과 江都의 지리적 조건을 통해 살펴보고, 천도 결과 나타나게 된 섬의 지형변화와 江都 都城 구조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江都 도성 입지의 가장 큰 특징은 入島였다. 江都는 방어하기 쉽고, 개경과 가까워 연락이 용이하며, 남경, 광주 등지와의 내륙 교통 및 기타 지방과의 수운도 편리해서 전쟁 시 정보 및 물자의 원활한 교류가 이뤄질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섬에 입지한 江都는 넓은 간석지에 제방을 쌓아 둔전을 마련하여 전쟁식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당시 宋으로부터 전래된 기술, 문화, 제도 등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었고, 전쟁으로 인한 대규모 인력 동원 및 강화도의 자연 조건은 이를 현실화할 수 있게 하였다. 결국 강화도 섬 전역은 상당한 지형변화를 겪게 되었으며, 江都는 개경과 달리 도성 외곽뿐만 아니라 도성 내에도 넓은 농경지를 둘 수 있었다. 도성은 궁성·중성·외성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궁성과 중성은 배치, 규모 면에 있어서 개경과 비슷하다. 취락의 밀도, 시가화 측면에서 개경과의 수준차는 있었으나 도성 내외의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가로체계, 용도지역, 세부시설 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조성되었다.
요약2 Gangdo(江都) was the capital during the war against Mongol Invasion in Goryeo Dynasty. This study is regarding the background of transfer of the capital from Gaegyeong(開京) to Gangdo based on the philosophy of location and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Gangdo. Meanwhile, it also discusses the shoreline changes of the Ganghwa Island and physical changes of the urban structure of Gangdo. The greatest feature of Gangdo is that it is located on the island since it was easy to defend Gangdo from the enemy. The inland and water transportation relations to Namgyeong(南京) and Gwangju(廣州), as well as many other natural factors, brought about the successful exchange of information and goods. Above all, the location of Gangdo indicated that it was possible to put on rations because of the farms cultivated by stationary troops on the wide reclaimed land. In addition to a lot of manpower produced during the warfare, the introduction of art and technology from Song Dynasty made cultivation possible along with the natural circumstances of Ganghwa Island. Finally, the entire shoreline of Ganghwa Island underwent tremendous change. Therefore, compared to Gaegyeong, Gangdo secured vast farmland both in and outside of the city. The capital was constructed in three layers: Gungseong(宮城, palace castle), Jungseong(中城, city wall) and Woeseong(外城, coast wall). The layout of Gungseong and Jungseong was similar to Gaegyeong. Although they were different between the density of settlement and the urbanized levels of Gangdo and Gaegyeong, the basic formation was the same in terms of street pattern, land use, infrastructure and natural environment.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소통공간의 관점에서 고찰한 "움직임의 건축"
서정일(Seo, Jeongi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11 (201811)
[논문] 조선초기 경복궁의 공간구성과 6조대로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4(통권 59호) (200808)
고려정궁 내부 배치의 복원연구
우성훈 ; 이상해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5 n.3(통권 47호) (200608)
조선왕릉 8간(間) 정자각(丁字閣) 고찰
김왕직 -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0805)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高句麗 長安城이 高麗·朝鮮 都城 立地 및 平面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최종현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2(통권 제23호) (200606)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이은수(Lee Eun-Soo) ; 홍병화(Hong Byung-Hwa) ; 김성우(Kim Sung-W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