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1974년「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의 성격과 도시계획적 의미 연구 / A Comprehensive Plan of Jamsil District in 1974: Its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for Future Urban Planning
저자명 김진희 ; 김기호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4(통권 제41호)(2010-10)
페이지 시작페이지(41) 총페이지(18)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잠실지구 ; 종합계획 ; 토지구획정리사업 ; 서울 도시계획//Jamsil District ; A Comprehensive Plan ; Land Readjustment Project ; Urban Planning in Seoul
요약1 1960~70년대는 1962년에 도시계획법을 제정하면서 우리의 손에 의한 근대도시계획의 기반을 만들어가는 시기로 학술적·기법적·제도적 측면에서 많은 시도와 발전이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도시계획의 발전과정 속에서 1974년『잠실지구종합개발기본계획』에 따라 개발된 잠실지구 사례를 통해 1960~70년대에 일어난 주체적인 도시계획의 하나로서 계획의 의미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당시, 서울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인구집중 문제를 해결하고자 1963년에 한강이남지역으로 시가지 확장이 되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한 시가지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잠실지구도 포함된다. 그런데 잠실지구 개발의 특이한 점은 사업시행에 앞서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여 구획정리 후의 개발 모습까지 입체적으로 구상하였다는 점이다. 기존 토지구획정리사업방식을 따른 것이 아닌 최초의 시도였다. 이러한 잠실지구 계획이 갖는 의미는 첫째, 당시 토목위주의 사업에 의존한 도시계획의 흐름을 계획 중심의 도시계획으로 전환하였으며 둘째, 잠실지구를 부도심화하기 하기 위해 방사환상형 도로망 및 대규모 업무기능 계획 등 도시형태적, 기능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졌다. 셋째, 최초로 도시설계 차원에서 입체적인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넷째, 집단체비지 개념을 도입·제도화하여 향후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건설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중심업무지구의 통합적 계획 및 개발도 집단체비지에 의하여 가능하였다.
요약2 During 1960’s and 1970’s, there had been a lot of attempts in academic, technical and institutional domains since urban planning law was legislated in 1962.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eanings of a comprehensive plan for Jamsil district in 1974 as one of the autonomous urban planning during the time. The research methods are divided in two ways. The one is to analyze the planning process to figure out importance of the plan in the context of urban planning in the 1960’s and 1970’s. The other is to analyze the physical planning in order to find out new ideas for making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data sources are legislations, public news gazettes, articles and planning reports issued during the time along with urban planning maps of Seoul and related old maps as a visual data.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flow of urban planning depending on civil engineering has been changed into the urban planning focusing on plans. Secondly, there were new attempts in order to make Jamsil as a sub-center by planning a large-scale business district with street pattern of radialconcentricity. Thirdly, multi-dimensional planning efforts was made for the first time. Lastly, the concept of collective land parcel was applied to Jamsil-plan, which enables to create a large-scale apartment complex and an integrative plan in the central business area.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
강남의 도시공간형성과 1960년대 도시계획 상황에 대한 연구
윤은정(Youn Eun-Jung) ; 정인하(Jung In-H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5 (200905)
서울 도심부의 역사적 도시형태 변화유형과 특성
진영효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1(통권 제34호) (2009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연구보고] 잠실아파트단지건설 고찰
여규정 - 주택도시(주택도시연구원) : 제34호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