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입체/복합시설 오픈 스페이스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일본 도쿄 도시재생 입체/복합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 Place Identity of Open Space in Mixed-use Complex - The Cases of Mixed-use Complex Planning for Urban Regeneration in Tokyo, Japan
저자명 성이용 ; 이상호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4(통권 제41호)(2010-10)
페이지 시작페이지(79) 총페이지(18)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 ; 입체/복합시설 ; 오픈 스페이스(광장, 공원) ; 장소 정체성//Urban Regeneration ; Mixed Use Complex ; Open Space(Plaza, Park) ; Identity with(of) Place
요약1 본 연구는 도시 재생 중 한 사례인 입체/복합시설내의 대표적인 오픈 스페이스인 광장과 공원의 장소 정체성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론적 고찰로 입체/복합시설의 선행연구와 정의를 분석하고 오픈 스페이스의 일반적인 특성 분석과 더불어 장소 정체성 분석을 통해 연구 분석 항목을 도출하였다. 일본 도쿄내의 입체/복합시설인 3개의 사례를 통해 오픈 스페이스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환경, 인간의 활동, 장소의 의미에 대한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론을 보면 첫째, 도쿄시 내의 입체/복합시설 오픈 스페이스는 전통적인 유럽의 도시 오픈 스페이스가 가지는 장소 정체성과 달리 새로운 장소 정체성을 가진다. 둘째, 도쿄시 내의 입체/복합시설 오픈 스페이스는 인간의 활동에 있어서 필수적 활동보다는 선택적 활동 및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게 자유로운 장소로 계획되어진다. 마지막으로, 도쿄시 내의 입체/복합시설 오픈 스페이스 의미는 새로운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 새로운 의미는 공간이 아닌 장소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요약2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Mixed-use complex (MXC) planning with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is about the place identity of open space in the MXC, while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define the significance of place. The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open space and defines the place signification of open space through three cases, planed as MXC in Tokyo. The analysis framework is drawn from correlation among three factors of space composition,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activity, this framework can draw each place signification of three cas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open space of the MXC in Tokyo has a new space identity that differs from the European traditional open space identity. Second, the open space of the MXC in Tokyo is planned as an embraced space which suggests the open space facilitates not only necessary activities but also option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Finally, the open space has a new signification. This new sense of place means people appreciate site as place not spac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입체복합시설의 해외사례와 특성
최윤경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2 n.7 (200807)
입체/복합시설 공중공간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성이용 ; 이상호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1(통권 제43호) (201102)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Lim, Yookyoung) ; 성은영(Seong, Eunyoung) ; 임강륜(Lim, Kang Ryoon) - 연구보고서(기본) : 2015 No.06 (201510)
일본 입체복합건축 외부공간 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
홍연 ; 최희원 ; 이상호 -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