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하회마을 경관요소 변화에 관한 연구 / 5개의 경관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Landscape Elements in Hahoe Village - Focused on the 5 Landscape Elements
저자명 이학섭 ; 손용훈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1(통권 제43호)(2011-02)
페이지 시작페이지(21) 총페이지(20)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경관 ; 경관요소 ; 경관변화 ; 하회마을 ; 하외도 ; 하회도 ; 전통마을//Landscape ; Landscape Elements ; Landscape Change ; Hahoe Village ; Hahoedo ; Traditional Village
요약1 하회마을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1979년 하회마을 조사보고서가 발표되고 하회마을이 1984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현재의 하회마을 경관은 조선시대의 경관요소를 간직하고 있으나 완전한 조선시대 하회마을의 경관은 아니다. 이에, 하회마을의 역사경관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밝히는 것은 하회마을의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다른 연구의 기초가 되는 사항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하회마을의 경관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회마을의 경관요소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하회마을 내의 만송정, 담장, 삼신당, 마을 출입로, 남포홍교의 경관요소가 어떻게 변화하였고 이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로써 후속연구자들이 현재 하회마을의 경관이 조선시대의 전통경관이 아닌 것을 인지하게 하고 후속연구에서 하회마을의 변화된 경관요소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요약2 The researches on the topic of Hahoe Village started in earnest since Hahoe Village Research Report had been published in 1979 and the village was designated as important cultural asset in 1984. Notwithstanding some of landscape elements in the Joseon era, Hahoe Village does not keep its originality in whole. It is the fundamental and significant work to clarify how the landscapes of Hahoe Village have been changed. To this end, this study clarified how the landscape elements in Hahoe Village have been changed. It examined how Mansongjeong, Samsindang, Nampohonggyo, Fences, Point bars have been changed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what those meant to the village. Future researchers could recognize that the landscapes of Hahoe Village are not the same as those of Hahoe Village in Joseon era. This understanding will contribute to distinguish the changed landscape elements in Hahoe Village.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안동 하회마을의 지형과 가옥의 입지에 관한 연구
정연상(Jung Yun-Sa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7 (201007)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하회마을 공동체적 의례공간의 건축적 특성 연구
구본환(Gu Bon-Hwan) ; 한필원(Han Pil-W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2 n.12 (20061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마당의 의미와 사용에 관한 연구
이영호(Lee Young-Ho) ; 박수빈(Park Soo-Bee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8 (2009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전봉희(Jeon Bong-Hee) ; 권용찬(Kwon Yong-Cha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7 (20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