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입체/복합시설 공중공간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일본 도쿄 도시재생 입체/복합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 Place Identity of Space above Ground in Mixed-use Complexes - The case of Mixed-use Complex Planning for Urban Regeneration in Tokyo, Japan
저자명 성이용 ; 이상호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1(통권 제43호)(2011-02)
페이지 시작페이지(87) 총페이지(17)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 ; 입체/복합시설 ; 공중공간 ; 장소 정체성//Urban Regeneration ; Mixed Use Complex ; Space above ground ; Identity with(of) Place
요약1 본 연구는 도시 재생의 한 사례인 입체/복합시설 공중공간의 장소 정체성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론적 고찰로 선행논문을 통해 공중공간에 관련한 용어가 혼용된 것을 정리하고, 장소 정체성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설명 후 이를 기본으로 분석항목을 도출하고 일본 도쿄의 입체/복합시설 사례 4개를 선정하여 공중 오픈스페이스, 공중가로, 공중브리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입체/복합시설이 가지는 공중 오픈스페이스는 지역커뮤니티를 활성화에 기여하며, 공중가로와 도시 내의 조망이 좋은 곳에 설치하여 ‘좋은 장소 만들기’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입체/복합시설의 공중가로는 보행을 주 기능으로 하지만 도시의 가로와 같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유도와 도시 내의 휴게공간을 위한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셋째, 입체/복합시설에서의 공중브리지는 주 기능이 보행이지만 공중가로의 여러 가지 특징을 연결 해주는 역할 및 공중가로와의 일체를 위해 같은 디자인, 구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입체/복합시설의 공중공간은 서로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설계 및 계획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
요약2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Mixed-use complex (MXC) planning with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lace identity of space above the ground in the MXC, while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define the significance of space above the ground. The method is as follows. This study discusses the correct use of vocabulary pertaining to mixed use space above ground level and examines details about the basic significance of place identity as a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draws the analysis items from the following two methods of process. Firstly analysis items include 3 types of space in a sky space, while the other items are 3 composition factors of place identity. Finally, 4 cases of MXC in Tokyo ar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framework.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open space above ground in MXC contributes to the 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y and assumes the role of ‘making a good place’. Second, a street above ground is used as a place not only for pedestrians but also for people who wish to rest and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ird, a bridge above ground assumes the role of connect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above ground and is integrated in the design and composition with the street above ground. Finally, the sky space in MXC has the same function but a different signification for the design and plan.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입체복합시설의 해외사례와 특성
최윤경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2 n.7 (200807)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입체복합시설 매개공간의 기능과 형태에 관한 연구
한광야 ; 박아름 ; 이유미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2(통권 제35호) (200906)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