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소득계층별 주거이동과정에 관한 연구 / 수도권내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 Residential Mobility Process by Income Brackets - Focusing on Apartment Dwell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저자명 홍성조 ; 안건혁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3(통권 제45호)(2011-06)
페이지 시작페이지(91) 총페이지(10)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주거이동 ; 주거여과이론 ; 주거수준 ; 주택공급정책//Residential Mobility ; Filtering Theory ; Living Condition ; Housing Supply Policy
요약1 본 연구는 주거이동과정에서의 소득계층별 주거수준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소득계층에서 주거이동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주거수준 개선이 나타났다. 그러나 저소득층의 주거수준 개선정도는 상위계층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소득계층 간 주거수준차이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역내이동과 역외이동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이동지역을 구분하지 않은 경우와 유사하게 결과가 나타났으나, 역내이동의 경우 역외이동에 비해 주거수준의 개선정도가 작게 나타났다. 이는 주거지역의 유지를 통해 얻는 효용을 위해 상당한 양의 주거수준 개선을 포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해낸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주택공급을 중심으로 한 주택정책은 주택공급량 확대 뿐 만 아니라 모든 소득계층에서의 주거수준 개선에 일정부분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신규주택공급과 함께 중산층 이하 계층을 위한 직접적인 주택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기존 주거지와 근접한 지역에 주택을 공급하는 방향의 정책이 필요하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of living conditions in residential mobility processes by income brackets, and to provide with housing policy alternatives. According to the results, every income bracket improves living conditions by residential mobility. However, low income bracket's degree of improvemen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high income bracket's. This result tells us that the gap of living conditions between income brackets will be widening. An analysis conducted with residential mobility within the area, showed similar results. However,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residential mobility within the area is smaller than residential mobility out of the area. This result implies that families give up certain living conditions to hold living area.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licies for new housing supply have a positive effect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for every income bracket. Second, direct housing support policies for low income bracket is essential. Third, housing supply in neighboring existing residential areas is essential.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서울시 소형가구의 주거이동 패턴과 유입요인에 관한 연구
홍성조 ; 김용진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4(통권 제46호) (201108)
우리나라의 도시설계와 건축의 관계 및 한계성
최순섭(Choi Soon-Sub) ; 김광현(Kim Kwang-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5 (201005)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 엄운진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2 (200902)
[논문] 1인가구 주거지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신상영 - 국토계획 : v.45 n.4(통권 178호) (201008)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주거문화 진단 및 주택정책 방향설정 연구
염철호 ; 하지영 - 연구보고서(기본) : 2011 n.01 (2011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저층주거지 특성에 따른 관리방향 및 검토과제 도출 연구
배웅규 ; 김지엽 ; 정종대 ; 김소라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3(통권 제45호) (20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