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조선전기 경복궁 궐내각사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Space of Gwolnaegaksa at Gyeongbokgu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저자명 이정국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0 n.5(통권 78호)(2011-10)
페이지 시작페이지(63) 총페이지(17)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경복궁 ; 근정전 ; 궐내각사 ; 행랑 ; 공간구성//Gyeongbokgung ; Geungjeon ; Gwolnaegaksa ; Haengrang ; Space Composition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space of Gwolnaegaksa (闕內各司), the Government office in the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oyal palace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political space for king, living space for king and his family and government office. So first, we shoul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in the Royal Palace. Up to now we have looked at the architectural space of Gwolnaegaksa in Gyeongbokgung (景福宮), one of the Royal Pala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There were not many Gwolnaegaksas in the early days in Gyeongbokgung. After King Sejong, some office buildings were established in that palace. King's closest guards, like as Seonjeonkwan (宣傳官), Gyumsabok (兼司僕), Naegeumwi (內禁衛) had been on duty in Sajeongjeon Haengrang (思政殿 行廊), a kind of servants´ quarters. Bincheong (賓廳), a conference room of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as situated in Geungjeon Haengrang (勤政殿 行廊). There were also barracks of other palace guards in Geungjeon Haengrang. Gyeongyeoncheong (經筵廳), a place to prepare and wait, was built separately from Geungjeon Haengrang. Layout drawings of Gyeongbokgung painted since the 18th century were different from document in some parts. The arrangement of the Gwolnaegaksa was assumed like as the Fig. 9.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조선전기 경복궁의 침전(寢殿)과 후원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이정국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0 n.6(통권 79호) (201112)
[논문] 조선초기 경복궁의 공간구성과 6조대로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4(통권 59호) (200808)
경복궁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장재혁(Chang Jae-Hyeok) ; 한동수(Han Dong-Soo)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0 n.4 (200404)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7 n.2 (199806)
[논문] 조선전기 경복궁 동궁(東宮)과 동조(東朝)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이정국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 (201202)
조선후기 지붕구조의 새로운 시도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9 n.2(통권 69호) (201004)
[자료] 경복궁 건물배치의 `三門三朝`설에 대한 의문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0 n.1 (200103)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논문]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경복궁배치도`의 제작시기와 史料價値에 대한 연구
이혜원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7 n.4(통권 59호) (200808)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