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군산 근대역사경관지구의 활성화를 위한 우선정비 블록 설계연구 / Block Design for Revitalization of Modern Historical Landscape Area in Kunsan
저자명 김현숙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2011-12)
페이지 시작페이지(29) 총페이지(13)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근대역사경관지구 ; 필지체계 ; 근대건축물 ; 블록설계//Modern Historical Landscape Area ; Plot Pattern ; Modern Architecture ; Block Design
요약1 본 연구는 군산시가 근대역사경관의 회복을 통해 도시가치를 향상시키고 원도심을 재생·회복시키기 위해 계획한 근대역사문화 벨트화사업 중 역사경관지구의 두 블록을 숙박 및 관광상업기능으로 시범적으로 설계하여 정체성 있는 공간특성을 확립해 가는 단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먼저, 현황분석을 통한 대상지의 가로, 필지, 건축적 특성을 규명하고, 건축물의 철거·개축·보수의 원칙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최종 설계를 제안하였다. 현황분석에 의해 규명된 내용은 필지 및 건축물 구성의 변화과정, 변형유형, 구조안전현황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첫째, 설계과정에서 공공공간 확보를 위한 철거는 덧대기, 블록조 슬레이트 건축물, 붕괴가 진행되고 있는 건축물에 한정했다. 둘째, 개축에 있어서는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해방전 주거건축물을 분석하여 지붕, 벽, 창호 등의 기본형을 설정하였다. 셋째, 가로에 면한 건축물은 보수 및 개축을 원칙으로 현재의 격자형 가로체계와 건축물의 특성을 유지하고, 블록 내부 건축물의 철거공간에는 그 지적선을 보존한 소공원을 조성하여 공간구조의 흔적이 남겨지도록 하였다.
요약2 Gunsan has established a master plan for changing it as a modern historic-cultural heritage town. Gunsan city expects to enhance urban values through renewing and recovering old downtown as well as recovering modern historical landscape. This study aims to make a contribution to enhance spatial properties with individual identities by making demonstrative plans for tourism commerce and accommodation to two blocks in the historical landscape complex as part of the master plan. Prior to propose final plan, we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treet, plot, and architectural properties in study area. Then we set up the rules for demolition, reconstruction, and repair of architectural buildings, and propose the final outcome. By forms of change, and composition safety are identified. In comply with the established conditions, we propose the followings. Demolition for providing public space has been limited only to extensional parts for the ceiling, block-type slate buildings and currently decays architectural buildings. For reconstruction, we have analyzed residential buildings built prior to the emancipation that have well-kept their natural forms so that we generate the basic type for roof, wall and windows and doors. Finally, the empty areas resulting from building demolition should keep remaining the existing spatial structure by installing small parks that preserve the existing ground track.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오피스 같지 않은 오피스
김주현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55 n.7 (201107)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상 ; 심경미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5 (200912)
도시재생사업 과정에 나타난 군산 원도심의 변화
유애림(Yu, AeRim) ; 박성신(Pak, Sungsine)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17 n.06 (통권70호) (20151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군산 근대 시가지 경관의 형태적 특성과 보존방향에 관한 연구
이경찬 ; 황경택 ; 홍환성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200511)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