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요지] 제주 전통민가의 특성요소 조합을 통한 제주 현대주택계획 가능성에 관한 연구
저자명 장창민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1 n.1(통권 80호)(2012-02)
페이지 시작페이지(255) 총페이지(2)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요약1 제주도는 위치상 우리나라 가장 남쪽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섬이라는 독특한 자연 환경을 가지고 있는 곳으로 지정학·인문 사회학적으로 육지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화 이후 제주의 주택은 육지의 주택과 다를 바 없는 형태로 발전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근대화로 인해 현재 주택으로서 거의 자리를 잃은 지 오래된 제주 민가를 재해석하여 현대주택에 적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즉 제주도민가를 구성하고 있는 건축 특성 중 현대 주택에 적용 할 수 있는 요소들을 찾아내고 각 요소들을 재해석하고 발전시켜 현대 주택에 적용하는 방법을 찾음으로서 근대화로 인해 잃어버렸던 제주의 고유한 지역성을 품고 있는 제주형 현대주택 계획의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그러나 그것을 어떠한 유형으로 일반화하기 보다는 어떻게 현대 건축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면서 건축 가능성을 살펴보고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태도이다. 지역과 사회의 독특한 전통성을 반영하여 현대 건축에 표현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건축 디자인 방법으로서 전통성은 이미 하나의 건축요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성의 반영은 전통건축을 현대건축에 반영하고자 하는 건축가에 의한 해석이 의해 각각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어진다. 전통건축이 가지고 있는 특성의 해석은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 본 논문에서는 전통건축이 가지는 개념의 해석 보다는 배치, 평면, 실 단위, 의장 요소라는 물리적 측면의 해석을 통해 설명해 보려한다. 기본적으로 제주도의 민가는 디자인적의 측면보다는 기후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반은 건축물이다. 하지만 현재의 건축기술로는 자연환경에 대한 영향의 극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구성된 제주 민가를 현대주택 계획에 이용 할 때 전통적 공간이 현대적으로 얼마나 활용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주민가의 전통공간을 현대 공간으로 어떻게 활용 가능할지에 대한 방법을 찾아서 제시하고 요소화 시킨다. 이러한 배치, 평면 구성, 실 단위별, 의장의 특성 분석을 통해 나온 요소를 현대 주택의 설계에 현대주택에 필요한 부분만을 디자인 요소로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민가의 전통성을 반영한 현대 주택을 설계하는 것이다. 전통을 반영한 주택의 설계의 타당성은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민가를 현대주택 계획에 이용할 때 전통적 공간이 현대적으로 얼마나 활용 가능한가에 대한 가능성에서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건축은 같은 건축이라 할지라도 사회 문화적 요인 등으로 인해 활용 가능성이 다르게 평가되어질 것이기에 설계요소를 객관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통 민가에서 현대건축에 적용 가능한 설계요소들은 다양한 접근과 해석을 통해 지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할 것이며 실재 건축물에 반영하여 사용해봄으로서 설계 요소의 타당성을 입증해 나가야 할 것이다.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제주 전통건축 공간과 조형의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정은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제15권 2호 (201311)
제주도 전통민가 형성과 특징에 관한 연구
정영철 ; 이해성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v.7 n.3 (199106)
[논문] 제주의 지역주의 건축
양상호 ; 박순관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18 n.6(통권 67호) (20091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제주지역 전통주거건축의 자연친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창희 ; 박정근 -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 v.16 n.2 (201405)
제주전통주택에 나타나는 다가성에 관한 연구
김형준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14 n.01 (통권49호) (201203)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