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U-Eco City의 TOD 생활권 공간모델 / A Spatial Model of the TOD Community in a ‘U?Eco City’
저자명 김덕수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3 n.3(통권 제51호)(2012-06)
페이지 시작페이지(5) 총페이지(16)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U-Eco 시티 TOD 생활권 ; 공간모델//U-Eco City TOD Community ; Spatial Model
요약1 본 설계연구는 유비쿼터스 기술과 친환경 기술을 접목하는 미래도시 생활권의 공간모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U-Eco City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생활권의 공간모델은 유비쿼터스 기술, 대량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환승 시스템, 보행자 위주의 가로체계, 복합용도, 그리고 지속가능성에 의해 구현되는 생활권의 이상적 모습으로 정의된다. U-Eco City TOD 생활권은 다양한 위계와 기능을 갖는 폴리(Poly)들이 네트워킹되어 구성된다. 폴리 시스템은 U-Eco City TOD 생활권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폴리는 U-Eco City TOD 생활권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 고유한 기능을 담당한다. 폴리 시스템은 사이버 폴리 1개, 자전거 폴리 4개, 농경 및 커뮤니티 폴리 16개, 그리고 수직농장 16개로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U-Eco City TOD 생활권의 공간모델은 유비쿼터스 기술과 친환경 기술을 적용하여 거주자의 편의, 안전, 지속가능성, 그리고 쾌적성을 고려한 계획안으로 제시된다.
요약2 This design?driven research aims at proposing the spatial prototype of future urban community, combining ubiquitous and eco?friendly technologies. The spatial model of U?Eco City 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Community is defined as a community life zone, realized by service networking between ubiquitous technology, a mass transit system, a pedestrian?oriented street system, mixed land use, and sustainability. The U?Eco City TOD Community is characterized by well?connected network of ‘polies.’ The polies have their own role to fulfill requirements of U?Eco City TOD Community. The poly system is a core of UEco City TOD Community network. The system consists of 1 Cyber Poly, 4 Bicycle Polies, 16 Farming and Community Polies, and 16 Farming Structures(vertical farms). In conclusion, this U?Eco City TOD Community is proposed as a spatial model, focused on convenience, safety, sustainability, and amenity for residents, while reflecting the change of lifestyle and social needs in coming future by applying ubiquitous and eco?friendly technologie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특집] 친환경 건축물의 개념 및 계획 방법
윤종호 - 건축환경설비(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 v.1 n.2 (200710)
미국 포틀랜드시 도심부재생에 있어 TOD 전략에 의한 도시설계수법에 관한 연구
이정형 ; 김혜련 ; 황두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4 n.1(통권 제55호) (20130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김도년(Kim, Do-Nyun) ; 권원순(Kwon, Won-Soon) ; 양성민(Yang, Sung-Min) ; 허효성(Huh, Hyo-Sung)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5(통권 제71호) (201510)
저탄소 시대의 친환경건축물 기술/사례
조욱희 - (사)한국그린빌딩협의회 창립 10주년 기념대회 : (2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