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역세권개발 실행력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System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Areas
저자명 이선우 ; 오종열 ; 이제선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3 n.6(통권 제54호)(2012-12)
페이지 시작페이지(23) 총페이지(18)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역세권 ; 역세권관련법//Station Area ; Related Systems of Station Area
요약1 본 연구는 역세권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역세권개발 제도의 정착과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구성은 첫째, 역세권개발에 관한 기존 연구 및 관련제도 동향을 고찰하고, 둘째, 역세권개발 관련제도 및 개발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셋째, 도출된 문제점들의 검증을 위해 공무원, 시행사 실무진 등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복합적인 역세권의 특성을 고려하여 모든 사업지구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개발법보다는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과 같이 개발촉진을 위한 지원법을 마련하여 기존 제도를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둘째, 대부분의 역세권개발사업은 역사와 인근지역으로 구분되어 여러 시행주체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관계로 역세권 전체에 대한 통합된 계획 수립 및 주체별 이해관계 조정을 위한 지원기구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 모호하게 규정된 역세권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끝으로 역세권 고밀개발에 대한 도시계획적 명분 확보를 위해 용적률거래제 등의 계획기제 활용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deas for effective urban development around station influence areas. This study is consist of four chapters: discussion of trends in existing studies and regul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station influence areas, identification of problems by analyzing current development projects and regulations, verification of the analysis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relevant experts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and developers. The study recommends the followings: First, considering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station influence areas, an additional development support system such as “code for acceleration of urban renewal” is required. Second, a coordination committee is necessary to draw a comprehensive plan. Since development districts are divided into the station and the surrounding areas with separate developers at most of station influence areas, it is difficult to make an inter-district plan. Third, the boundary of station influence areas should be clearly defined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abstract designation. Finally, implementing urban planning measures such as transfer of development rights would be a good way to justify the high density development at station areas.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집] 서울시 역세권개발 역사, 현황 그리고 전망
최창규 ; 구자훈 ; 이승일 ; 김태현 ; 성현곤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67호 (201210)
역세권의 적정 공간범위 설정 방법론을 통한 지하철 이용수요와 역세권의 도시공간구조간의 연관성 분석
이연수 ; 손동욱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3 n.4(통권 제52호) (201208)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특집] 도시재생 : 도시중심지의 종합관리와 과제
배웅규 ; 김상일 ; 김항집 ; 류영국 ; 양재섭 ; 이석환 ; 이제선 ; 임희지 ; 장경철 ; 최정우 ; 홍경구 ; 홍미영 -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 통권 제343호 (201010)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 임유경 - 연구보고서(기본) : 2009 n.7 (200912)
외국[고속]철도역세권 개발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한 계획적 의미에 관한 연구
김도년(Kim Do-Nyun) ; 양우현(Yang Yoo-Hyun) ; 정동섭(Jeong Dong-Seop)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1 n.8 (200508)
도심재생 측면에서 본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계획) 분석
이응현(Lee Eung-Hyun) ; 오덕성(Oh Deog-Se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4 n.6 (200806)
[논문] 역세권개발과 수도권 공간구조 재편
이창무 ; 김흥순 ; 김미경 - 국토계획 : v.42 n.6(통권 159호) (200711)
특별건축구역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과제 및 제도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김철영 ; 서수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3(통권 제45호) (20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