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서울시 상상어린이공원의 창의 놀이 행태 분석 연구 / A Research on the Creative Behavior of Children's Plays in Sangsang Children's Park, Seoul City
저자명 강영재 ; 김요섭 ; 조세환
발행사 한국조경학회
수록사항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40 n.5(2012-10)
페이지 시작페이지(109) 총페이지(10)
ISSN 12251755
주제분류 조경
주제어 어린이 놀이시설 ; 조합놀이대 ; 놀이 행태 관찰 ; Children's Play Facilities ; Combination Play Facility ; Behavioral Observation
요약1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상상어린이공원 조성사업'으로 조성된 어린이 놀이시설물에서 나타나는 어린이들의 창의놀이 행태 분석 및 창의 놀이 유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함양하고 제고하기 위한 상상어린이공원 놀이시설의 향후 개선방향에 대한 기초자료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에서부터 2010년까지 조성된 상상어린공원 제2차 사업지 6개소를 대상으로 놀이시설 도면 분석 및 놀이 현상에 대한 현장 비디오 촬영을 통한 관찰조사방법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상어린이공원의 놀이시설에는 모두 21개 유형의 창의 놀이 행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상어린이공원의 중심시설이 조합놀이대로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놀이시설의 이용률은 절대적인 면에서 조합놀이대의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창의 놀이 행태는 그네, 흔들말과 같은 독립놀이시설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타나고 있었고, 셋째, 어린이들의 창의 놀의 행태는 조합놀이대와 같은 고정된 놀이시설보다는 그네, 흔들말과 같은 유동적 놀이시설과 모래사장과 같은 공간적 놀이시설에서 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어린이들의 창의 놀이 행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 등 5개 창의성 요소에서 분석될 수 있었으며, 창의 놀이 행태는 5개 창의성 요소에서 중복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이상의 결과에서 어린이들의 창의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상상어린이공원의 조합놀이대 시설은 유동적 및 공간적 놀이시설과 복합화 하여 디자인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보다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는 정교성 및 상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놀이시설이나 공작형 놀이시설,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화벽시설 등과 같은 놀이시설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요약2 The study is aimed to suggest a preliminary data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recreational facility to enhance children's creativity at Sangsang Children Park Project(SCPP) in Seoul Metropolitan City being the case study. The book review, especially the field observation was implemented by the video recording methods for analyzing the children's play behavior with regard to the six sites of the SCPP that was constructed in March 2008 until May 2010. Because of the research, the first 21 patterns of the creative activities were shown. Second, the prime using rates of facilities were the combination of play facilities among other play facilities like swings, slides, trembling horse etc. However, more children's creative behaviors occurred on independent play facilities like swing, trembling horse, etc. than at combination play facilities. Third, children's creative behaviors diversely occurred at a moving or fluid facility like a swing, trembling horse and a spatial facility like sand field more than a fixed facility like combination play facility. Fourth,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ould be divided and evaluated by five categories and elements of fluency: the flexibility, the creativity, the elaborateness, and the imagination. Nevertheless, it was assumed that the creative elements of the five categories were mixed together with each other instead of showing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Fifth,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earch reached out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mbination play facility of imaginary children's park would be designed together with more fluid and spatial facilities to improve the children's creativity. Finally, It was proposed that the play facilities of imaginary children's park like drawing wall or board, spatial play facilities and handicraft facilities etc. w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sorts of creativeness on elaborateness and imagination shown less than th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소장처 한국조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놀이속성 분류에 따른 적정 어린이 놀이시설물 연구
정길택(Jeong, Kil-Taek) ; 신민지(Shin, Min-Ji) ; 신지훈(Shin, Ji-Hoon) -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ol.46 No.1 (201802)
놀이행태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수정(Kim, Soo-Jeong) ; 박수빈(Park, Soo-Been)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27 No.6(통권 131호) (201812)
발달과 행태 특성에 기반한 어린이 도서관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신라영(SHEEN, Rayoung) ; 김주연(KIM Joo Yun) ; 황용섭(HWANG Yongseup)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Vol.09 No.03 (201409)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