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영국의 농촌경관 정책과 시사점 / 잉글랜드 환경관리제를 중심으로 / Rural Landscape Policy in UK and Its Implications - Focused on Environmental Stewardship in England -
저자명 김광남 ; 김미영
발행사 한국경관학회
수록사항 한국경관학회지 , v.2 n.2(2010-12)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19)
ISSN 2092-9919
주제분류 도시 / 계획및설계
주제어 농촌경관 정책 ; 농환경계획 ; 환경관리제 ; Rural Landscape Policy ; Agri-Environmental Schemes ; Environmental Stewardship
요약1 우리나라 경관 정책에서 농촌에 대한 관심과 비중은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뒤지고 있다. 농촌경관 정책도 기능상의 연계성과 효율성이 낮고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잉글랜드의 농촌경관 정책의 흐름과 주요 정책 수단을 소개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농촌경관 계획의 방향성과 방법론을 재인식하는 계기를 얻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문헌조사, 현지사례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 등의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잉글랜드는 일찍이 농촌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과의 통합을 통한 농환경계획 차원에서 환경관리제라는 정책 수단을 통해 환경, 역사문화, 산림 등 관련 분야의 제 주체가 참여하여 정책 전 과정에 긴밀한 유대와 협력을 통하여 일체화된 통합적 경관관리를 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부처별, 공간별, 대상별로 분산되어 연계성이 부족한 우리나라 농촌경관 정책이 보여주는 실행수단의 미흡, 참여 유인의 부족, paper plan 등의 한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요약2 The interest of the rural area is relatively behind the urban in landscape policy of Korea. Also the rural landscape policy is faced criticism because of it's low functional connectivity and effectiveness, and that the practical application is missing in the fie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key policy of rural landscapes in England and to find the direction and methodology of rural landscape plan in Korea. We use documentary survey, case study and policy makers interview in this study. Environmental Stewardship(ES), the key contents of agri-environmental schemes, does unified integrated landscape management with a closer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in each part.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ome problems(lack of connectivity, insufficient tool of implementation, lack of participation incenti-ves, paper plan) are indicated. So, It implicate need of a fundamental improvement in these problems.
소장처 한국경관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마을계획에 따른 농촌경관과 지역성 고찰
박헌춘 ; 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 v.10 n.4 (200811)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도시재생사업에서 입체도시계획기법
이종원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1(통권 제34호) (200903)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국토경관 향상을 위한 농촌 경관관리체계 개선 연구 (2)
심경미(Sim, Kyung Mi) ; 이여경(Lee, Yeo Kyung) ; 홍예지(Hong, Ye Ji) ; 류현숙(Lyu, Hyeon Suk) ; 윤건(Yoon, Kun) ; 박정호(Park, Jung Ho) - 연구보고서(협동) : 2016 No.01 (201612)
경관관리체계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임철희(Im, Cheol-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8 n.03 (201203)
입체도시공원 개발을 위한 시사점 도출
송지영(Song Ji-Young) ; 김세용(Kim Sei-Yong)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12 (200912)
경관계획수립지침에 따른 지자체 경관계획의 경관자원 조사 현황 분석
장혜원(Jang, Hye-Won) ; 김다영(Kim, Da-Young) ; 주신하(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지 : Vol.9 No.1 (20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