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근린공원 환경의 만족도가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 성산구와 의창구를 대상으로 / Effect of Satisfaction in Neighborhood Park Environments o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 The Case of Seongsan-gu and Uichang-gu in Changwon City -
저자명 박경훈 ; 이우성 ; 김태환 ; 김은정
발행사 한국조경학회
수록사항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42 n.3(2014-06)
페이지 시작페이지(64) 총페이지(12)
ISSN 12251755
주제분류 조경
주제어 도시공원 ; 건강도시 ; 체질량지수 ; 비만 ; 건조환경//Urban Park ; Healthy City ; Body Mass Index ; Obesity ; Built Environment
요약1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근린공원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신체활동과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 횟수와 체질량지수(BMI)에 의한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창원시 성산구와 의창구 도심지역에 분포하는 8개 근린공원의 이용자와 그 주변에 거주하는 429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설문분석은 근린공원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일대일대응 선형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공원을 이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시간적 여유의 부족, 공원까지의 이동거리와 소요시간, 공원 내 이용시설의 부족 등이고, 공원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공원까지의 접근성, 걷기 또는 산책, 휴식시설, 수목이나 그늘, 운동공간의 다양성 등으로 나타났다. 공원 이용자의 경우, 공원에서 걷기나 산책을 가장 많이 하고, 주 2회 이상 평균 10분 정도 걸어가서 1시간 정도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과 그 주변의 물리적 환경 중에서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이동하는 가로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공원 내 수공간이나 볼거리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운동목적의 공원이용 여부, 공원이용시간, 공원이용의 만족도와 건강증진 효과, 공원까지의 거리, 노약자들의 공원이용 편이성 등이 유의수준 5% 이내에서 신체활동과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횟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고, 체질량지수와는 공원이용에 따른 건강증진 효과만이 유의수준 10% 이내에서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도 공원의 신체활동과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실증적 사례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서 각종 개발용도로 전환되거나 그 면적이 축소되고 있는 도시지역의 공원 및 녹지공간을 보전?확대시켜 나가고, 신체활동 및 건강증진 장소로서의 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공원계획?설계 요소를 도출하는데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in neighborhood park environments located in the Changwon-si of Gyeongsangnam-do, South Korea, on physical activity, the number of parks used for health improvement, and health levels based on Body Mass Index(BMI).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of 429 nearby residents and users of eight neighborhood parks located in urban areas of Seongsan-gu and Uichang-gu in the Changwon-si.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of neighborhood parks and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which was observed in the survey results, was analyzed using one-by-on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y summarizing the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rimary reasons for avoiding park use were lack of tim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reach the park(i.e., distance from the park), and lack of facilities within the park. Conversely, the primary reasons for using the park included accessibility, walking or strolling, leisure facilities, trees or shade, and diversity in exercise areas. In the case of park users, walking or strolling was the most common activity in the park. On average, park users walked to the parks for 10 minutes and exercised for an hour at least twice per week. With respect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parks and surrounding areas, park users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ir houses and parks and the street environment. On the contrary, they exhibited low levels of satisfaction with water spaces and sightseeing within the parks. Subsequently, it was shown that the number of people using the parks for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improvement was positively influenced(within a 5% significance level) by the intent to use the park for exercise, time spent in the park, satisfaction with park use and health improvement, distance to the park,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park for the elderly. However, only the health improvement gained from park use was found to exhibit a correlation with BMI at the 10% significance level. Continuous accumulation of practical case studies on physical activities in parks and their health improvement effects is required. Through this, park spaces that are under the threat of reduction or elimination owing to various development plans can be conserved and expanded. Furthermore, such case studies can be used to provide data as the basis for deriving park plans and designs that improve parks' functions as sites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improvement.
소장처 한국조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열섬현상 특성 변화와 도시설계적 대안 모색에 관한 기초연구
김용진 ; 강동화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3(통권 제45호) (201106)
[논문] 근린 환경이 지역 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경환 ; 안건혁 - 국토계획 : v.43 n.3(통권 163호) (200806)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의 상호관련성
백수경 ; 박경훈 -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42 n.3 (201406)
가로환경개선사업 후 이용객과 상인간의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조연경 ; 양재혁 ; 우신구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3(통권 제36호) (200909)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오규식 ; 홍재주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6 n.1(통권 제18호) (200503)
[논문] 주거지 근린환경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현곤 - 국토계획 : v.46 n.3(통권 184호) (201106)
[논문] 사무직직장인의 통근행태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분석
신기숙 ; 성현곤 ; 노정현 - 국토계획 : v.44 n.1(통권 168호) (200902)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노인의 건강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용진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논문] 컴팩트 시티 계획 요소가 지역 주민의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경환 ; 김승남 ; 안건혁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3(통권 제32호) (200809)
상업가로 활성화를 위한 도시설계 방안 연구
오성훈 ; 진현영 - 연구보고서(기본) : 2012 n.08 (20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