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논문] 1920년 창덕궁 내전 일곽의 재건에 관한 연구 / [Theses] A Study on Reconstruction of Naejeon Area at Changdeokgung Palace in 1920
저자명 우동선 ; 기세황
발행사 한국건축역사학회
수록사항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3 n.3(통권 94호)(2014-06)
페이지 시작페이지(29) 총페이지(12)
ISSN 15981142
주제분류 역사
주제어 창덕궁 ; 내전 일곽 ; 희정당 ; 대조전 ; 1920년 ; 외관 ; 실내 ; 재건 ; 입식 ; 절충식 ; 메이지궁전 ; 일본 ; 프랑스 ; 중국//Changdeokgung Palace ; Naejeon ; Inner Halls ; Huijeongdang ; Daejojeon ; 1920 ; exterior ; interior ; reconstruction ; standing style ; eclectic ; Meiji Palace ; Japan ; France ; China
요약2 Naejeon area at Chandeokgung Palace means the areas of Huijeongdang and Daejojeon area. Huijeongdang or Hall of Brilliant Rule is made for the king, and Daejojeon or Hall of Great Creation is made for the queen. These areas were located nearly and repeatedly burned down and rebuilt several times together, but their forms were largely unchanged. However in 1920, they rebuilt in a very different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onstruction plans, progress and completion of Naejeon area's rebuilding. They were reconstructed into eclectic structures as the exteriors were built using basic materials from Gyeongbokgung Palace. So they have traditional-looking appearances, but the interiors consisted of modern equipments and were built by applying foreign style construction techniques. The main floored room of Daejojeon and the area of Huijeongdang were built in standing style by installing radiators and French furnitures. Also, the porch, corridor, storage space and veranda were constructed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construction. After the reconstruction, there were changes in the usage of some spaces. Huijeongdang functioned only for Alhyeonso or audience chamber rather than Pyeonjeon or state hall. New organizations created by the Japanese such as Chansi or secretaries office and the Chief secretary's office were included in Naejeon area.
소장처 한국건축역사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1908년 창덕궁 인정전 일곽의 개조에 관한 연구
우동선 ; 기세황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23 n.2(통권 93호) (201404)
창덕궁 침전일곽의 건축 형식 변천에 관한 연구
김지현(Kim, Ji-Hyun) ; 이상해(Lee, Sang-Hae) ; 윤인석(Yoon, In-Suk)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12 (201412)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허유진(Huh, Yoo-Jin) ; 우동선(WooDon-So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 n.7 (201307)
1907~1910년 창덕궁 중심 공간의 재편
이규철(Lee, Geau-Chul)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1 No.06 (201506)
과학운동과의 관계에서 본 박길룡의 주택개량론
우동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17 n.5 (200105)
「동궐도」와 「동궐도형」의 비교연구
박재산 ; 한동수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311)
[논문]덕수궁 정관헌(靜觀軒)의 원형, 용도, 양식 재고찰
허유진(Huh, Yoojin) ; 전봉희(Jeon, BongHee) ; 장필구(Jang, PilGu) -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 Vol.27 No.3(통권 118호) (201806)
석고전(石鼓殿)의 마지막 이건과 소멸
허유진(Huh, Yoojin) ; 전봉희(Jeon, 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1 No.04 (201504)
1917-1921년 창덕궁 대조전 재건공사에 적용된 조선식 목조 지붕틀과 방화계획
장필구(Chang, Pil-Gu) ; 전봉희(JeonBong-Hee)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30 n.5 (201405)
[논문] 역사적 건축물 보존에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과제
이범훈(Rhee, Bum-Hun) ; 김기호(Kim, Ki-Ho) - 국토계획 : Vol.50 No.7(통권 217호) (20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