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명 |
파괴모드를 고려한 비보강 조적벽체의 비선형 해석모델 / Nonlinear Analysis Model Considering Failure Mode of Unreinforced Masonry Wall |
저자명 |
백은림 ; 김정현 ; 이상호 ; 오상훈 |
발행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
수록사항 |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 v.18 n.4(2014-07) |
페이지 |
시작페이지(33) 총페이지(8) |
ISSN |
2234-6937 |
주제분류 |
구조 |
주제어 |
비보강조적조 ; 비선형해석 ; 이력모델 ; 파괴모드//URM ; Nonlinear analysis ; Hysteresis model ; Failure mode |
요약1 |
본 연구는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정밀한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 조적벽체의 형상비 및 개구부 유무에 따른 파괴모드를 고려하여 기존의 전단강도 제안식을 비교·평가하고, 이를 반영한 복원력 특성모델을 제안하였다. 개구부가 없는 조적벽체의 전단강도는 국내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강체회전 및 양단부 압축파괴 강도와 FEMA의 미끄러짐 전단강도 중 작은 값을, 개구부가 있는 벽체의 경우 Pier 벽체만을 고려하여 강도를 예측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파괴모드를 고려하여 휨 및 전단거동의 복원력 특성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비선형 반복가력 해석을 수행한 결과, 강도 및 이력 거동 면에서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요약2 |
The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unreinforced masonry (URM) building more accurately. For that, shear strength and hysteresis model considering failure mode of the URM wall were discussed. The shear strength of URM wall without openings could be calculated by determining on the minimum value between the rocking strength suggested by domestic research and the sliding strength suggested by FEMA. The wall having openings could be predicted properly by the FEMA method. And the nonlinear hysteresis models for flexural and shear behaviors considering failure mode were proposed. As the result of the nonlinear cyclic analysis that carried out using suggested models, these analysis models were proper to represent the seismic behavior of URM walls. |
소장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