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장소기억의 재현을 주제로 조성된 서울숲, 선유도공원의 장소성 형성 구조 연구 / Internal Structure of the Sense of Place for Parks that were aimed at Reenacting the Place Memory - Focusing on Seoul Park and Seonyudo Park -
저자명 임승빈 ; 권윤구 ; 정윤희 ; 허윤선 ; 변재상 ; 최형석
발행사 한국조경학회
수록사항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42 n.5(2014-10)
페이지 시작페이지(1) 총페이지(12)
ISSN 12251755
주제분류 조경
주제어 장소성 형성 요인 ; 인더스트리얼공원 ; 구조방정식 모형 ; Factors of the Sense of Place ; Industrial Park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요약1 최근 전세계적으로 공장과 공단, 공업도시, 노동자 주거 단지, 쓰레기 매립지 등의 인더스트리얼 사이트를 공공의 땅으로 회복하고 공원화함에 있어 장소가 지니고 있던 역사적, 형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고유한 장소성을 고려한 장소기억의 재현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공원설계에 있어 주요한 목표가 되고 있는 장소성 높은 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조성 및 개원 당시 공원을 설계하는 방식에 있어 장소의 기억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의 장소성 형성 구조를 도출하여, 향후 장소성을 고려한 공원계획 및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서울숲, 선유도공원에 대한 장소성 형성구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은 자연물리적, 인공물리적, 체험적 요인의 만족도가 장소성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소성이 높아질수록 방문용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소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서 서울숲과 선유도공원은 놀이, 운동 등 체험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소성을 높이기 위하여는 물리적 요인에 더하여 체험적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동일한 유형의 장소일지라도 개별 장소의 특성에 따라 요인 및 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장소별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 요인과 관련된 구체적 변수의 중요도는 장소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숲에서는 자연물리적 요소가 인공물리적 요소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유도공원에서는 인공물리적 요소가 자연물리적 요소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에 있어 정량적 연구방법인 구조방정식 모형을 다양한 장소에 도입하여 장소성 구조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장소성 형성을 위한 보다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장소성의 실체에 한걸음 더 접근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방법 및 결과를 토대로 더욱 다양한 장소를 대상으로 장소성 형성모델을 도출하는 후속 연구가 계속된다면, 의미 있고 개성적이며 정겨운 도시의 장소, 더 나아가서 인간적인 도시, 경쟁력 있는 도시를 만드는 일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요약2 Recently, the reenaction of place's memories that were considered sense of place based on its histor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 were assumed important topics for recovering and making the park from industrial sites, such as factory, industrial complex, industrial city, labor residential development, landfill, etc., to the public all over the world. This research aimed to conduct some preliminary data for making the park's sense of place highly. So, after conducting the structural forms of sense of place for Seoul Forest and Seonyudo Park that were designed and built by considering its place memories actively, park planning and design implications that were considered its sense of place were suggested. The research results those were derived from the structural forms of sense of place for Seoul Forest and Seonyudo Park'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n Seoul Forest and Seonyudo Park were determined that the naturalphysical, artificial-physical, and experiential environmental factors' satisfaction of Seoul Forest and Seonyudo Park have an effect on forming the Sense of Place. In addition, the sense of place was affected by the willingness to visit. Second, according to its physical environment, the experiential factors, such as plays, exercises and etc., were more important relatively. Therefore, experienti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significantly with physical factors to make the sense of place highly. Third, even the places were under similar category, the factors' and valuables' relative importance were changed. A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id, specific valuables' related with each factors would be differentiated due to the place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results were showed that natural-physical factor was more important than artificial-physical factor in Seoul Forest. On the other hand, artificial-physical factor was more important than the natural- physical factor. This research carries some significance for apply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arious place to conduct the sense of place's structural model, for suggesting relative specific methods to make the sense of place, and for being a step forward to substance of sense of place. If further studies conduct focusing on various places to draw the forming models of sense of place that were based this research's analysis methods and results, those researches would contribute to make the urban place meaningful, characteristically and affectionately. Furthermore, those researches would contribute in making a humane and competitiveness city.
소장처 한국조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설계작품] 선유도 공원
조성룡도시건축 ; 다산컨설턴트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7 n.2(통권 제7호) (200206)
[책속의 책] 선유도공원(1)
정영선 ; 조성룡 - 월간 건축문화 : No.254 (200207)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책속의 책] 선유도공원(2)
정영선 ; 조성룡 - 월간 건축문화 : No.254 (200207)
아모레퍼시픽 사옥 설계사례
최도석 - 설비저널(대한설비공학회지) : Vol.47 No.12 (201812)
[책속의 책] 선유도공원(3)
정영선 ; 조성룡 - 월간 건축문화 : No.254 (20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