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196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형성된 준공업지역 계획 특성 연구 / 서울 뚝도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Semi-industrial Area Zones Developed by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1960s - Focused on the Ttuk-do Readjustment Project Area, Seoul
저자명 최선호 ; 김기호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5 n.6(통권 제66호)(2014-12)
페이지 시작페이지(157) 총페이지(15)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뚝도지구 ; 1960년대 도시계획 ; 토지구획정리사업 ; 준공업지역 ; Ttuk-do Land Readjustment Project Area ; Urban Planning in 1960s ; Land Readjustment Project ; Semi-Industrial Area Zones
요약1 뚝도지구는 60년대 경제개발과 산업화라는 국가적 목표 속에서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조성된 준공업지역이다. 이 연구는 당시 조성된 뚝도토지구획정리사업을 대상으로 사업의 배경과 내용을 분석하여 도시계획적 특성과 의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60년대 인구증가에 따른 서울시의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해방 후 신편입지에 대한 계획 요구가 있었고, 4개지구를 대상으로 지역지구 지정과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진행된 뚝도토지구획정리사업의 계획내용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도시조직, 지형적 특성, 미래의 토지이용 등을 고려하여 가로의 기능 및 형태를 계획하였다. 둘째, 미래 경공업 위주의 토지이용을 위해 이에 적합한 가구, 획지의 형태 및 규모를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용도혼합을 하나의 계획요소로 보아 혼합지역을 지정하였고, 기존 시가지 수용, 시설 계획 등을 통해 용도혼합을 유도 및 권장하였다. 결국 뚝도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은 지역지구제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여 준공업지역에 대한 도시공간을 조성하였고, 그 특성은 오늘날까지 성수동 준공업지역에 영향을 주고 있다.
요약2 In 1960s, Ttuk-do readjustment project area was developed as semi-industrial area zones for the purpos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Ttuk-do area to analyze the related background and elements of planning and to interpret meaning. To solve urban problems in Seoul, after the independence in 1945 there was a demand for urban planning in incorporated area. So, zoning and readjustment projects in the incorporated area were happen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eet system and function was planned based on historic street patterns, geographic features, and future land-uses. Second, blocks and lots were laid out considering light industry as a primary future land-use. Lastly, a mixed area was planned as mixed land-use was regarded as an element of the plan. The purpose of the mixed area are to promote mixed land-uses embracing the remaining town and planning facilities. As a result the Ttuk-do project made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zoning, and its physical and land-use characteristics influenced Seong-su semi-industrial area zones toda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성수동 준공업지역 블럭단위 개발에 관한 연구
박윤정(Park, Yun-Jung) ; 안기현(Ahn, Kee-Hyun)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ol.36 No.2 (201610)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본 뚝섬지역 도시공간 변천에 관한 연구
김수현 ; 백진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411)
[논문] 준공업지역에서의 토지이용전환 특성에 관한 연구
정천용 ; 이명훈 - 국토계획 : v.42 n.5(통권 158호) (200710)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뉴욕시 공업지역의 재생 사례 및 기법에 관한 연구
배웅규 ; 김지엽 ; 양윤재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0 n.2(통권 제35호) (200906)
성수동 준공업지역 공장건축물의 건축행위 특성에 관한 연구
양유상(Yang, Yoo-sang) ; 박소현(Park, So-Hy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ol.34 No.12 (201812)
강남의 도시공간형성과 1960년대 도시계획 상황에 대한 연구
윤은정(Youn Eun-Jung) ; 정인하(Jung In-H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5 n.05 (2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