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정신병원 옥외공간의 이용행태 및 선호요인 분석 / Analyses of User Behavior and Preference Factors in the Outdoor Spaces of Psychiatric Hospitals
저자명 안득수
발행사 한국조경학회
수록사항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42 n.6(2014-12)
페이지 시작페이지(72) 총페이지(17)
ISSN 12251755
주제분류 조경
주제어 정신분열증 ; 치유정원 ; 스트레스 ; 이미지 ; 정원요소 ; Schizophrenia ; Healing Garden ; Stress ; Image ; Garden Elements
요약1 본 연구는 정신병원 옥외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정신병원은 250병상 이상의 병원 중 정원의 규모와 도입요소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5개소를 선정하였다. 피험자는 경증의 정신분열증 환자로 한정하였으며, 5개의 병원에서 각각 30~50명씩을 주치의로부터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다. 물리적 환경은 연구대상지를 직접 방문하여 공간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은 환자의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1:1 면접법을 선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설문매수는 총 230매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정원구성요소는 휴게시설, 조경시설, 산책/운동시설, 체험시설의 순으로 많았다. 옥외 산책/운동 프로그램은 단체산책과 자유산책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단체산책을 실시하고 있다. 옥외공간은 매일 이용자가 대부분이지만, 거의 이용하지 않는 환자도 일정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옥외공간의 이용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통제력 확보를 위한 공간과 사회적 접촉을 유도하는 공간의 비율이 적절히 조화되어야 한다. 옥외 주 이용 공간의 선호 이유는 경관/환경성이 가장 중요하고, 다음이 기능성, 접근성이다. 선호공간에서의 주요행위는 산책/운동과 휴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선호시설은 연못, 폭포, 분수 등의 수경시설과 퍼골라, 녹음수 등의 휴게시설 그리고 잔디밭이다. 새로운 치유정원 조성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분야는 자연성이며, 그 다음이 심미성과 쾌적성으로 파악되었다. 도입되기를 선호하는 단일시설로는 꽃밭, 산책로 및 잔디밭이며, 유형별로는 분수, 연못, 폭포 및 물레방아 등의 수경시설을 가장 선호한다. 가장 선호하는 기능공간은 자연적인 기분전환을 할 수 있는 공간이며, 프로그램은 꽃밭가꾸기가 가장 선호되었다 치유정원의 이상적인 이미지는 산뜻하면서도 친근하며, 정원에 도입시설이 풍부하되, 전체적으로는 질서 있는 정원이었다. 위요되는 것보다는 개방적인 공간을 선호하였으며, 마음을 차분하게 하는 정원을 가장 이상적인 정원의 이미지로 생각하였다.
요약2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user behavior and preference factors in the outdoor spaces of mental hospitals. Among hospitals with 250 or more beds, 5 hospital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size of garden and diversity of garden elem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restricted to mild cases of schizophrenia while 30~50 patients were selected on the recommendation of their doctor from 5 hospitals, respectively.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analyzed, focusing on space components, after visiting the sites of study. A face to face interview method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patients' cognitive abilities,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est facilities occupy the largest numbers in the components of garden, and those are followed by landscape facilities, walking/exercise facilities, and experience facilities. Outdoor walking/exercise programs are classified into group walks and free walks with most patients taking group walks. Most of the patients visit these outdoor spaces every day but some of them rarely use the outdoor area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ing these outdoor spaces, the percentage of space for ensuring a sense of control should properly harmonize with the percentage of space to facilitate patients in having social contact. With regard to the reasons for preferring the most widely-used outdoor spaces, landscape/environment property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functionality and then accessibility. Major activities in the preferred space are mainly composed of walking/exercise and rest. The preferred facilities are waterscape facilities such as ponds, waterfalls and fountains, rest facilities such as pergolas and shade trees, and lawn. It was understood that naturalness should b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nstructing a new healing garden, followed by aesthetics and amenities. Single facilities rated by preference for introduction were flower beds, trails, and lawn. According to type, waterscape facilities such as fountains, ponds, waterfalls and waterwheels were most preferred. Space for natural distraction and programs for the cultivation of flower beds were also preferred. The ideal image of a healing garden should be bright, familiar, and orderly as a whole, having plenty of introduced facilities. Open spaces were preferred to enclosed spaces. Finally, the image of a garden that helps patients feel calm was thought to be that of the most ideal garden.
소장처 한국조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국내 정신병원의 건축계획적 특징에 관한 연구
김상복(Kim, Sang-Bok) ; 윤재희(Yoon, Jae-Hee)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 Vol.19 n.01 (통권77호) (201702)
일본 정신병원의 시설현황과 병동특성에 관한 연구
주용선(Joo Yong-Sun)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3 n.2 (200702)
정신병원 치유정원의 음경관 디자인을 위한 소리효과 분석
안득수(Ahn, Deug-Soo) -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ol.43 No.1 (201502)
우리나라 정신병원 병동부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1)
주성철 ; 김선국 ; 김광문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 v.3 n.4 (199706)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우리 나라 정신병원 병동부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2)
최성봉 ; 최영집 ; 김광문 -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 v.4 n.7 (199812)
[논문] 루이스 칸의 병원건축에 나타난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
임영환 ; 김지환 -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 v.15 n.4(통권 37호) (200911)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정신병원과 정신요양시설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이중호 ; 정무웅 -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 v.22 n.2 (2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