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역할 및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 전문가 그룹별 인식 비교를 토대로 / The Roles and Supporting Strategies of National Urban Regeneration Assistance Agency - A Comparative Study on Four Specialists Groups’ Recognition
저자명 박성남(Park, Sungnam) ; 서수정(Seo, Soojeoung) ; 임강륜(Lim, Kangryun)
발행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수록사항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6 No.4(통권 제70호)(2015-08)
페이지 시작페이지(29) 총페이지(18)
ISSN 15980650
주제분류 도시
주제어 도시재생지원기구 ; 선도지역 ; 파트너십//Urban Regeneration Assistance Agency ; Pilot Project ; Partnership
요약1 2014년 2월에 도시재생지원기구가 복수로 지정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현재 세부적 기능 및 역할 설정은 미흡한 상황이므로, 향후 도시재생 제도의 발전과 도시재생 사업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세부적 역할 설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련 전문가 그룹의 인식 분석을 토대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기능 및 역할과 도시재생사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 역량및 지원 수요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도시재생 기반 구축이 미비한 시군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이 강조되었다. 주민 및 공무원 대상 교육의 중요성이 지적되었으며,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유형별 지원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아울러 도시재생지원기구 실무자 협의체, 사업 총괄코디네이터, 센터담당자 등 지역별 도시재생 담당자간 네트워크 구축 및 발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에 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기능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전문성, 권한,역량 증대, 향후 사회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기능 발전, 현장과 연계한 지속적 제도 발전을 본 연 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요약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ailed functions and roles of the National Urban Regeneration Assistance Agencies. It also seek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al strategies for the agencies in the short- and also long-term perspectives. In-depth interviews with urban regeneration specialists, grouped into four, were conducted to collect various opinions on the future roles of the agencies. Interviewed specialists highlighted a partnership among the three current agencies established in the system. They also argued that supports from the agencies should be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which lacks of urban regeneration capacity.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residents and on public officials was highlighted in the interviews, too.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agreed that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assistance strategy between “city center regeneration projects”, and “urban neighbourhood regeneration projects”. In addition, it was highlighted that there is a need to create and enhance a cooperative network among stockholders and participants including the team staff members from the three agencie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1) enhancing the agencies’ specialties, authorities and capacity, 2) developing its functions responding to future socio-economic changes, and 3) developing its sustainable supporting system responding to local demands properly.
소장처 한국도시설계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서수정(Seo, Soo Jeong) ; 윤주선(Yoon, Zoosun) - 연구보고서(정책) : 2015 No.02 (201508)
[논문]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최강림 ; 이승환 - 국토계획 : v.44 n.2(통권 169호) (200904)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김혜천 -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 v.26 n.3 (201309)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강맹훈(Kang, Maeng-Hoon) ; 송혜승(Song, Hye-Seung) ; 이명훈(Lee, Myeong-Hun)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8 No.3(통권 제81호) (201706)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부서간 협업 수준 진단:
이정목 ; 이삼수 ; 김민 ; 황규홍 -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 논문집) : Vol.29 No.2 (201606)
도시재생사업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윤병훈(Yun, Byung-Hun) ; 남진(Nam, Jin) - 국토계획 : Vol.50 No.8(통권 218호) (201512)
도시재생사업과 관련된 현행 인센티브 제도의 분석
이인성 ; 유나경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1 n.4(통권 제41호) (201010)
일본의 민간개발 유도형 도시재생정책의 제도적 특징과 활용에 관한 연구
장리브가(Jang, Rebecca) ; 윤철재(Yoon, Cheol-Jae)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ol.17 No.5(통권 제77호) (201610)
[논문] 미국의 도시재생수법으로서 BID(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에 관한 연구
이운용 ; 김민경 ; 이정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9 n.2(통권 제31호) (20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