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원문보기 | 미리보기 [ 원문보기시 소비되는 포인트 : 50 포인트 ]
기사명 광주 폴리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재고 / 제 1차 광주폴리를 중심으로 / A Critical Reconsideration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Follies in Gwangju - Focused on the First Gwangju Follies -
저자명 한성미(Han, Sung-Mi)
발행사 한국조경학회
수록사항 조경연구(한국조경학회지) , Vol.43 No.6(2015-12)
페이지 시작페이지(41) 총페이지(11)
ISSN 1225-1755
주제분류 조경
주제어 도시재생 ; 구도심 ; 폴리 ; 장소성 ; 스트리트 퍼포먼스//Urban Regeneration ; Old Town ; Folly ; Sense of Place ; Street Performance
요약1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조성된 폴리는 역사성과 장소성을 강화하고, 공동화 되어가는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도시 재생적 목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애초의 목적과는 달리 옛 읍성 터 가장자리에 조성된 10여개의 폴리는 주변 상인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보행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활발한 이용 대신 방치되어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정적 현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폴리와 주변공간을 활성화하여 도시재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 폴리들 간의 물리적 통일감을 부여하는 맥락이 없으며, 각각의 독립된 작가 중심의 작품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의 부족, 그리고 폴리 형성과정에서 시민과의 교감이 부족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폴리조성 본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결정적 해법으로써 폴리에 인간의 활동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인간 활동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효과적 방안으로 스트리트 퍼포먼스(street performance)를 제안하였다. 원래 폴리라는 시설물은 어떠한 특정 활동이 정해진 공간이 아니나, 현재와 같이 그것이 이용되지 못하고, 외면 당하거나 방치될 때 스트리트 퍼포먼스의 적용은 부정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광주폴리에 새로운 관계맺음, 창의적인 활동의 무대, 일상의 공간 등의 영역으로 탈바꿈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현재 광주시가 최근 선보인 2차 폴리는 도서관, 화장실과 같은 명확한 목적을 가진 구조물 및 소규모 이동식 포장마차 등으로서 1차 폴리와는 그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1차 폴리는 개관을 앞 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이나 철거가 되지 않고, 일부 폴리는 직접 아시아문화전당을 전망할 수 있는 설치물임에 따라 이들 폴리에 대한 지속적이며 효율적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계속될 100여개의 폴리 설치계획에 의미 있는 지침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요약2 The purpose of the Follies that were constructed for the Gwangju-Biennale were for urban regeneration, to activate the empty old-town areas, and to strengthen the tradition and sense of place of the city. However, the ten Follies constructed around the wall of the old castle reveal many problems including that of leaving Follies alone instead of actively using them, damage to shop-keepers nearby, and pedestrian inconvenien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urposes. This study is meant to help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negative phenomena, and to offer plans that will be conductive to the role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activating the Follies and the spaces around them. As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ere was no context giving uniformity among the various Follies. Also, the study showed that the insufficience of designers' understanding of the circumference near the Follies and lack of a consensus between the citizens and designer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Follies. The crucial solution for solving these problems, and bringing to life the original purpose of creating the Follies was derived as applying "human activity" to the Follies. This study suggested 'street performance' as an effective device for application to human activity. While a Folly has no fixed function, the development of space program categories based on the applied characteristics of each Folly, and the simulation thereof showed effective potential for attracting people and activating those stagnated spaces. Recently, Gwangju city depicted the second Follies in applications such as reading roon, toilet, and movable food cart, which have clear purpose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first ones. However, the first Follies will not be moved or demolished. As they are located around the National Asia Culture Center, some of them are supposed to be used to view the center. Consequently, a counterplan for the continuous and efficient use of those Follies is needed. Gwangju has a plan for the installation of 100 Follies throughout the city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meaningful guide line for improved Follies in the future.
소장처 한국조경학회
스크랩하기
추천문헌 이 논문을 열람하신 아우릭 회원님들이 많이 열람하신 논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의 대응
이명식(Lee, Myung-Sik)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1 No.05 (201705)
라빌레뜨 이후 현대건축에서 나타난 폴리 프로젝트 사례 연구
강효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23 n.3(통권 104호) (201406)
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권경민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v.16 n.6(통권 65호) (200712)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적용을 통한 건축 형태 생성 연구
윤혜경(Yoon Hae-Kyung) ; 김주영(Kim Ju-Young) ; 홍원화(Hong Won-Hwa)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6 n.02 (201002)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염철호 ; 심경미 ; 조준배 - 연구보고서(기본) : 2008 n.8 (200902)
[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정지나 ; 김용석 ; 이승민 -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200803)
폴리(Poly) 개념을 기반으로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옥승원 ; 조종수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v.31 n.1(계획계) (201104)
[특집] 포스트 코로나19 도시계획의 과제와 방향
정재용(Chung, Jae-Yong) - 건축(대한건축학회지) : Vol.64 No.06 (202006)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 이주형 -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 v.12 n.6(통권 제48호) (201112)
국내 패시브건축물 설계 및 시공사례
이명주 - 한국그린빌딩협의회 추계학술강연회 논문집 : (200911)